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운곡학회논총.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원주지역 시인의 작품에 나타난 장소성 연구

A study on the sense of place in the poetry of poets in Wonju Area

DOI : 10.69615/ungok.2023.14.29
  • 9

본고는 원주지역의 문단 현황과 원주지역 문학이 지닌 정체성을 살펴보았다. 원주지역 문학의 정체성으로는 원주문협이 추진하는 생명문학에 주목하였다. 원주지역문학이 지향하는 생명문학은 김지하·오탁번·장영수 등이 치악산을 통해 전달 하는 사상과 연계할 때 원주문학의 정체성이 더 공고해질 것이다. 김지하의 치악산은 고 통을 상기하는 장소이자 동시에 고통을 다독이는 장소로 기능했다. 독재에 저항하다 옥 살이를 마치고 돌아온 김지하의 ‘집’과 ‘치악산’이 동질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원주지역의 생명사상이 지닌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오탁번의 치악산은 성장통의 무게를 투영한 동 반자이자 경외의 대상이었다. 한편, 박경리의 시 중에서는 단구동과 회촌지역의 장소들을 살폈다. 작가와 작품이 장 소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원주의 상징적인 공간으로 볼 수 있다. 박경리의 시에서 는 단구동과 회촌이 각각 다른 정서로 드러난다. 단구동 지역에는 고단한 삶이 담겨있고, 회촌 지역에는 연민과 서정적 삶이 담겨 있다. 특히 회촌 지역의 시작품에 나타난 박경리 의 시세계는 생태주의적 애정이 담겨 있어, 원주문학이 지향하는 생명문학과 연계할 수 있는 접점이 있다. 본고는 원주문학이 생명문학을 정체성을 더 강화하기 위해서는 생명사상을 반영한 장 소와 인물들을 연계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김지하의 생명사상은 장일순·지학 순이라는 현대적 인물에서부터 동학운동의 최시형까지 거슬러 올라가서 살펴보는 것도 가능하다고 보았다. 김지하를 비롯하여 원주지역 시인들이 다룬 장소, 고산리와 가리파재는 생명문학과 연계하여 살펴볼 수 있는 곳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literature in the Wonju region and the identity of Wonju literature. As the identity of Wonju regional literature, I focused on the life literature promoted by the Wonju Literary Association. The life-literature that Wonju regional literature aims for will be more solidified when it is linked to the ideas conveyed by Kim Ji-ha, Oh Tak-beon, and Jang Young-soo through Mount Chiak. Kim Ji-ha's Mt. Chiak functioned as both a reminder of suffering and a place of healing. The homogeneity of Kim Ji-ha's 'home' and 'Chiaksan' after his imprisonment for resisting the dictatorship confirms the value of Wonju's idea of life. Oh Tak-beon's Mount Chiak was a companion and an object of reverence that projected the weight of growing pains. Meanwhile, Park Kyung-ri's poems examine places in the Dangu-dong and Hoechon neighborhoods. It can be seen as a symbolic space of Wonju in that the writer and his work bring about the transformation of the place. In her poems, Dangudong and Hoechon are represented by different sentiments. Dangudong reflects a hard life, while Hoechon reflects a compassionate and lyrical life. In particular, Park Kyung-ri's poetic world in the early works of the Hoechon area contains ecological affection, and there is a point of contact with the life literature that Wonju literature aims for. This paper has confirmed that in order for Wonju literature tofurther strengthen its identity as life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link places and figures that reflect life ideas. Kim Ji-ha's lifethought can be traced back to the contemporary figures of JangIl-soon and Ji-hak-soon, as well as to Choi Si-hyung of theDonghak movement. Gosan-ri and Garipajae, the places that KimJi-ha and other Wonju poets wrote about, can be examined inrelation to life literature.

Ⅰ. 원주지역 문단 현황

Ⅱ. 원주의 문학적 정체성을 반영한 치악산

Ⅲ. 박경리의 문학자산을 품은 단구동과 회촌

Ⅳ. 원주의 생명사상을 반영한 인물과 장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