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로컬리티 문학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는 가운데 본고는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원주표상과 로컬리티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농촌이 많은 강원도에서 가장 인구가 많 은 원주시는 군사도시 이미지에서 벗어나 생명도시, 혁신도시, 유네스코문학도시 및 민주 화의 성지로 변모되었다. 치악산 아래 절개와 충의를 지닌 운곡 원천석, 손곡 이달과 같 은 역사인물과 장일순 사상가, 지학순 주교, 소설가 박경리, 시인 김지하가 거주하고 있 어 반역과 동학과 생명의 도시 이미지를 형성한다. 이기호와 김희선의 소설 속 원주시(W 시)는 군사도시 정체성과 소시민의 터전으로 재현된다. 이인휘 장편소설의 부론은 예술 가들의 생태적 대안공간이자 상처치유공간으로, 오탁번의 「아버지와 치악산」은 부자갈등 을 통한 화해와 생명의 공간으로 그려진다. 원재길의 「장선생, 1983년 9월 원주역」과 이 기호의 「차남들의 세계사」 속 원주는 국가권력, 생명정치가 드리워진 장소에서 벌어지는 무고한 시민에 대한 고문과 협박, 폭력과 인권유린이 자행된 곳으로 197,80년대 한국사 회의 축도로 표상된다. SF적 상상력으로 W시를 재탄생시킨 김희선 소설은 타자중심적 소수자지향적 입장을 표명한다. 세계의 중심, 타자의 공간으로서 원주시를 묘사한 작가는 중심과 주변을 해체하며 글로컬리즘적 사유를 드러낸다.
Recently, while locality literature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his paper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Wonju and the characteristics of locality in modern Korean novels. Wonju, the most populous city in Gangwon-do with many rural areas, has escaped from the image of a military city and is known as a city of life, innovation city, UNESCO City of Literature, and a holy place of democratization. At the foot of Mt. Chiak, historical figures such as Ungok Won Cheon-seok and Songok Yi Dal with incision and loyalty, as well as thinkers Jang Il-soon, Bishop Ji Hak-soon, novelist Park Kyung-ri, and poet Kim Ji-ha, form the image of a city of rebellion, dynamism, and life. In Lee Ki-ho and Kim Hee-sun's novels, Wonju City (W City) is recreated as a military city identity and the home of small citizens. Lee In-hwi's novel is presented as an ecological alternative space and wound healing space for artists, and Oh Tak-bun's “Father and Chiaksan” is presented as a space of reconciliation and life through father-son conflict. In Won Jae-gil's “Wonju Station, September 1983” and Lee Ki-ho's “World History of the Second Sons,” Wonju is represented as the epitome of Korean society in the 1970s and 80s, where torture, intimidation, violence and human rights abuses against innocent citizens took place in disguised places of state power. KimHee-sun's novel, which reinvents W poetry with sci-fi imagination, expresses an other-centered minority-oriented stance. The artist, who depicts Wonju City as the center of the world and the space of the Other, dismantles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revealing glocalist thought.
Ⅰ. 로컬리티·소설·원주
Ⅱ. 군사도시 정체성과 소시민의 터전
Ⅲ. 생태·생명·치유의 공간
Ⅳ. 폭력과 감시의 일상화 그리고 민주화의 성지
Ⅴ. 세계의 중심, 타자의 공간
Ⅵ.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