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근대화는 곧 도시화라는 등식 아래 농촌의 고유성이 파괴되고 무화되는 상 황 속에서 박경리 문학의 근원인 생명의식은 어떻게 시대적 변화와 지역의 고유성으로 습합되었는지, 평사리라는 문학적 공간의 장소성을 규명하고 공간적 특성을 밝혀가는 가 운데 박경리의 『토지』에 내재되어 있는 농촌의 지역성 인식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학에서 공간은 사건이 벌어지는 구체적인 장소인 동시에 사건과 이야기가 진행되는 동 안 인물들의 실존과 친소, 위계 등 인간관계를 드러내며, 공간에 축적된 역사와 문화는 물론 그것들의 총합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성을 파악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토지」의 공간적 배경은 경상남도 하동 평사리를 비롯하여 서울, 진주, 통영, 부산 등 국내는 물론 만주, 용정, 하얼빈에 이르는 광대한 공간이 형상화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 이동은 서사의 확장과 각 인물의 삶의 궤적을 보여주는 동시에 공간 이동에 따른 인식의 변화와 인간관계의 변화는 인물을 이해하는 중요한 실마리가 되기도 한다. 특히 『토지』의 핵심적 공간 배경인 평사리는 지리적으로 실재하는 공간이지만 작품에서 공간은 작가의 문학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 공간이다. 따라서 문학적 공간은 그곳에 존재하는 인물들과 상호작용하는 자연환경, 전통, 문화, 관습, 인간관계 등을 통해서 드러나는 서술을 통해 서사적 핍진성을 높인다. 「토지」를 통해 재현된 농촌의 지역성 인식은 ‘생의 터전으로서 운명공동체’에서 ‘연대와 돌봄의 공동체’로, 언제나 돌아갈 수 있는 ‘존재의 집’으로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how the essence of life consciousness, which is the origin of Park Kyung-ni's literature, has merged with the temporal changes and regional uniqueness amidst the situation where the rural uniqueness is destroyed and eroded under the equation that modernization is synonymous with urbanization. By elucidating the spatiality of Pyeongsari, a literary space, and revealing its spatial characteristics, the study seeks to shed light on Park Kyung-ni's perception of the regional identity inherent in the rural setting of her novel “Toji.” In literature, space serves as a concrete setting where events take place, but at the same time, it unveils the characters' existence, intimacy, hierarchy, and human relationships that unfold throughout the events and narratives. The accumulated history and culture in a space, as well as the sum of those elements, which can be called regional identity, provide clues for understanding. The spatial background of “Toji” encompasses various locations, including Pyeongsa-ri in Hadong, Gyeongsangnam-do, as well as Seoul, Jinju, Tongyeong, and Busan in South Korea, and even extending to Manchuria, Yongjeong, and Harbin. This extensive spatial movement not only expands the narrative but also reveals the trajectories of each character's life. The changes in perception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esulting from spatial movementserve as crucial clues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s. Inparticular, Pyeongsa-ri, the central spatial backdrop of “Toji,” is ageographically real place, but within the work, the space becomes avirtual space based on the author's literary imagination. Therefore,literary space enhances narrative progression through descriptionsthat reveal interactions between characters, the naturalenvironment, traditions, culture, customs, and human relationshipsthat exist in that space. The representation of regional awarenessin the rural setting portrayed in “Toji” demonstrates its characteristics as a “community of shared destiny” that serves asthe “foundation of life” and evolves into a “community of solidarityand care,” always providing a place of belonging and return.
Ⅰ. 들어가는 말
Ⅱ. 생(生)의 터전을 공유한 운명공동체
Ⅲ. 연대와 돌봄의 공동체
Ⅳ. 존재의 집으로 귀환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