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관료적 태도보다 선비로서의 역사관에 입각한 조선 사대부들의 울릉도에 대한 인식을 논의한 것이다. 신라 지증왕 때부터 고려조에 이르기까지는 울릉도는 영토의 개념에서 통치되었으나 조선 태종 때부터 울릉도 주민을 육지로 쇄환(刷還)하는 공도화(空島化)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에 대해 조선 사대부들은 비판적 입장을 드러내었다. 공도화 정책은 사대부 다수의 반 대에도 불구하고 세종 때까지 꾸준히 지속됨으로써 이후로 울릉도는 체험적 공간이 아니 라 관념적 영토로 인식되었다. 공도화 정책 이후 왜인들의 울릉도 밀항은 조선 후기에 이를수록 빈번하였고, 조선 어 민들 역시 정부의 단속을 피해 울릉도에서의 불법 어로활동을 하였다. 조선 어민과 일본 어민의 은밀한 어로 활동이 외교적으로 상호 폭로된 것이 울릉도에서 일본인이 안용복을 납치한 사건이다. 조선 사대부의 울릉도에 대한 뚜렷한 영토관은 안용복 납치사건을 계기로 울릉도 수 토(守土) 정책에 영향을 끼쳤다. 숙종 이후 조선 정부의 적극적인 수토 활동은 안용복의 납치와 송환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이 사건은 외교적 파장이 컸고 조선 정부도 크게 자극을 받아 울릉도에 대한 수토 활동을 제도화하였다. 그 결과 안용복은 조선 정부로부터 처벌받았으나 사대부들은 안용복의 공적을 높이 평가하였다. 조선 사대부들은 잘못된 공도화 정책이 후세를 어렵게 한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ir historical viewpoints as a classical scholar rather than their attitudes as a government official to discuss the perceptions of the Ulreung Island among Sadaebu in Joseon. From the reign of King Jijeung in Silla to Goryeo, the island was governed according to the territory concept and made active reactions to foreign invasions. But in Joseon, King Taejong began the policy to bring back the residents of the island to the land and empty the island for its management from a territorial perspective. Sadaebu was critical of the policy to empty the island that began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following the foundation of Joseon. But the policy continued until the reign of King Sejong despite oppositions from a majority of Sadaebu. As a result, the Ulreung Island was perceived as a conceptual territory rather than an experiential space.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policy, in which process Waeins stowed away to the island more frequently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During the period, Joseon's fishermen carried out fishing activities in the island despite the government's crackdown. The abduction of Ahn Yong-bok by Japanese people on the islanddisclosed diplomatically the secret fishing activities of both Joseon'sfishermen and Japan's fishermen. Their clear viewpoint of territory regarding the island of Sadaebuhad impacts on the active activities to protect the territory of theisland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The direct cause of theJoseon government's active activities to protect the island sinceKing Sukjong was Ahn Yong-bok that was abducted and sent back by Japanese people that invaded the island. It had such a huge diplomatic impact that the Joseon government was immensely stimulated and made it an institution to engage in activities to protect the territory of the island. As a consequence, he was punished by the Joseon government, but Sadaebu spoke highly of his achievement. Facing these facts, Sadaebu of Joseon criticized that the wrong policy to empty the island made it difficult for later generations.
Ⅰ. 머리글
Ⅱ. 사대부의 영토적 관점과 이상향적 관점
Ⅲ. 공도화에 대한 대마도 및 일본의 반응
Ⅳ. 대마도주의 조선어민 울릉도 출입 금지 요구 배경
Ⅴ. 맺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