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강원도를 배경으로 한 고전소설의 수량이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그 작품 들에서 강원도는 어떻게 형상화되는지 살펴보았다. 강원도를 배경으로 한 고전소설 작품 은 총 53편으로 확인되었다. 조사 결과 강원도의 각 지역이 가진 특색이 고전소설에도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금강산은 명산이라는 이미지에 걸맞게 여러 작품에 다양한 기능을 하며 등장하였다. 춘천을 포함한 인근 지역은 고전소설의 배경으로 환영 받지 못했던 것 같다. 다만 근대 초입에 춘천의 성장과 더불어 가정·가문 내의 갈등을 소 재로 한 작품들이 일부 출현하였다. 역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강원도의 정체성을 유지해 왔던 원주와 강릉 지역은 고전소설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특히 원주권은 원주 및 치 악산 지역, 오대산 지역, 영월 지역 등이 각각 나름의 개성을 바탕으로 고전소설에 등장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태백산 및 영동 지역의 경우에도 태백산은 영산에 걸맞게 작품 속에 배치되었으며, 강릉의 경우 지역이 지닌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바탕으로 작품 속 다 양한 사건의 무대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number of classic novels set in Gangwon-do and how Gangwon-do was embodied in those works. A total of 53 classic novels set in Gangwon-do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of Gangwon-do were reflected in the classic novels. Befitting the image of a famous mountain, Mt. Geumgang(Geumgangsan) appeared in various works with various functions. It seems that the surrounding area including Chuncheon was not welcomed as the background of the classic novel. However, with the growth of Chuncheon at the beginning of the modern era, some works featuring family and family conflicts appeared. The Wonju and Gangneung regions, which have historically and culturally maintained the identity of Gangwon-do, appear in various forms in classic novel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Wonju, Mt. Chiak(Chiaksan), Mt. Odae(Odaesan), and Yeongwol regions appeared in classic novels based on their own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Mt. Taebaek(Taebaeksan) and Yeongdong region, Mt. Taebaek was placed in the work befitting spirit mountain, and in the case of Gangneung, it was confirmed that it became the stage for various events in the work based on the sociocultural identity of the region.
Ⅰ. 들어가며
Ⅱ. 권역별 특징
Ⅲ. 나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