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젠더 인식에 따라 글쓰기의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결과이다. 젠더 인식이 강한 학습자는 자신의 주장을 좀더 확실하게 나타내고자 글의 표 현력에도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을 전체적으로 보여주었는데 세부적인 사항 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젠더 인식이 강한 학습자는 자신의 견해와 전체적인 주장을 글의 도입 부분에서 먼저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내가’, ‘나는’, ‘필자는’과 같은 자기 주체성 표현은 젠더 인식이 약한 학습자에게서 더 많이 나타났다. 젠더 인식이 약한 학습자는 유명 학자의 주장에 대해 자신도 같은 입장이라는 취지의 글이 많지만, 젠더 인식이 강한 학습자는 글을 쓸 때 자신을 글의 내용 속에 동화시키기 보다는 객관화하여 표현하거나, 유명 학자의 주장에 대해 반론을 제시하며 자신의 주장 을 강화하는 데 사용한다.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거 제시 방법에서도 차이를 보인 다. 젠더 인식이 강한 학습자는 자신의 이야기를 일화나 실례로 드는 경향이 강하지만 젠 더 인식이 약한 학습자는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research to find out how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appear according to gender perception. It has been shown as a whole that learners with the strong gender awareness are putting more effort into the expressive power of the text in order to express their arguments more clearly. Learners with the strong gender awareness tend to present their views and arguments first at the beginning of the text. However, expressions of self-identity such as ‘I’ and ‘Writer’ appeared more in learners with the weak gender awareness. Learners with the weak gender awareness are often written to the effect that they are in the same position to the claims of famous scholars. Use it to reinforce one's own arguments by making objections to the argument.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how to present arguments that support their arguments. Learners with the strong gender awareness tend to tell their stories as anecdotes or examples, but learners with the weak gender awareness often do not.
Ⅰ. 머리말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
Ⅲ. 수사학적 차이 결과 분석
Ⅳ. 젠더 인식에 따른 수사학적 내용 차이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