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 1330~?)의 시에 나타난 지향의식을 고찰하기 위하여 집필되었다. 운곡 시에 나타난 지향의식은 첫째 외물(外物)과 화합을 통한 낭만 정신이다. 그의 시에 나타난 자아는 가끔 외물에 부정적이었지만, 대부분 외물에 대하여 긍정적이었다. 둘째 예스러우면서 꾸밈없는 정신세계의 지향이다. 운곡의 정신은 상고주의(尙古主義)에 있었다. 셋째 운곡은 혼돈을 넘어 질서의 세계를 지향하고 있다. 그는 이 세상의 삼라만상이 순환(巡還)하듯, 역사도 일회성이 아니라 순환한다고 생각하였다. 넷째 외물(外物)과 통섭(統攝)을 통한 이상세계(理想世界)의 지향이다. 운곡은 외물을 통하여 서로 화합하기를 바랐다. 그가 이러한 지향의식을 갖게 된 것에는 다음의 몇 가지 이유에서 비롯한다. 첫째 그의 가문은 그리 번성한 집안이 아니었다. 둘째 그가 태어나서 생활한 지역은 지리적으로 한쪽에 치우쳐 있었다. 셋째 운곡은 집안뿐만 아니라, 학맥(學脈)에서도 그다지 두드러지지 않았다. 그가 신흥 학풍인 성리학에만 몰두하지 않았다. 넷째 운곡은 개혁파(改革派)가 아니라 보수파(保守派)였다. 다섯째 운곡은 신흥사대부가 주축이 된 개혁파에 속하지 않았기에 그가 정계(政界), 또는 관직에 나아갈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그의 의식이 위에서 논의한 몇 가지로 향할 수밖에 없었다.
This thesis was written to examine the intentional consciousness expressed in the poetry of Ungok Won Cheonseok(元天錫, 1330~?)’s. First, the intentional consciousness expressed in his poetry is the romantic spirit through harmony with external things. The persona expressed in his poetry was mostly positive toward externalizations. Second, it is the direction of the spirit world that is gentle and unadorned. The spirit of Ungok was in classicalism. Third, his aims for a world of order beyond chaos. He thought that just as all things in this world cycle, history also circulates, not a one-time thing. Fourth, it is the orientation of the ideal world through external things and consilience or configuration. He hoped to harmonize with each other through external sources.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he has such a sense of orientation. First, his family was not very prosperous. Second, the area where he was born and lived was geographically biased to one side. Third, He was not so prominent not only in the family, but also in the academic system. He did not focus solely on Neo-Confucianism, an emerging academic style. Fourth, He was not a reformist, but a conservative. Fifth, He did not belong to the reformist sect led by newly created scholars, so he could not advance into politics or public office. For these reasons, his consciousness had to be directed towards some of the things discussed above.
Ⅰ. 머리말
Ⅱ. 운곡 시에 나타난 지향의식
Ⅲ.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