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운곡학회논총.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耘谷 元天錫 先生의 山水詩 硏究

A Study on the natural poetry of Ungok(耘谷) Won Cheon-suk(元天錫)

  • 6

운곡은 자신이 지향하던 이상 사회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는 역사를 목도한 이후, 운곡은 조시(朝市)로부터 멀리 떨어진 초야(草野)에서 은사(隱士)로 살아가게 된다. 운곡은 도를 지키며 두 마음을 가지지 않음으로써 몸을 깨끗이 한 점에서 후세인의 존숭을 받았다. 「홍천을 지나가다(過洪川)」 시에서 운곡은 절의를 지키며 살아가는 선비들의 삶을 떠올리기도 하는데, 그들이야말로 산수에 은거하며 살아가는 자신과 심정적으로 합치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산수가 베풀어준 혜택이 적지 않음을 시화한 것으로 「18일(十八日)」 시가 있다. 「산(山)」 시에는 산수에의 은거를 스스로 선택하게 된 정황이 잘 나타나 있다. 운곡은 그 당시의 정세가 자신이 뜻하던 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임을 예견하였다. 따라서 운곡은 더 이상 환로(宦路)에 자신의 삶을 의탁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산수자연에 의탁하며 살아가는 것으로 충신(忠臣)의 일편단심을 실천하였다. 운곡시에는 속인(俗人)의 마음과 상반되는 망기(忘機)의 심경(心境)을 시화하고 있으니, 「남쪽 시내(南溪)」 시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운곡이 지향한 청정한 시정신은 세속에 대한 욕망이 없는 것이므로 이는 곧 망기(忘機)의 마음으로 표출된다. 한편 「배웅(送行)」 시를 통해 운곡은 자신의 기상이 세속적 욕망과 무관한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운곡에게 산수는 변함없는 자연의 이치를 체득하는 공간이었다. 그는 천지자연이 만물을 길러내는 모습을 보며, 자신 또한 천지자연이 만물을 기르는 기상과 일치되기를 희구하였다. 「병오(1366년) 늦은 봄(暮春 丙午)」 시에서는 일개의 화초일지라도 소중한 생명체로 대하고 그것을 아끼는 것이 선비의 참마음임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자연을 애호한 그의 마음이 진심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운곡의 마음은 세상사에 초연하고 자연이 만물을 만들어 기르는 기상과 합일하기를 바라는 증점의 마음과 합치되어 있다. 「죽령(竹嶺)」 시는 고봉준령(高峰峻嶺)을 지나갈 때 겪은 일을 소회(所懷)로 삼아 시상을 전개한 것이다. 상자연(賞自然)의 공간인 죽령의 산수 풍광이 그에게 적지 않은 감흥을 불러일으켰음을 알 수 있다. 상자연의 공간은 그에게 도심(道心)을 함양할 수 있는 장소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자연의 모습은 완월(玩月)의 이미지로 표출되기도 하는데, 「막비가 개임(新晴)」 시에서 지조 있는 선비의 삶을 지향한 그의 내면은 소나무 가지 끝에 걸린 달의 모습에 투사되어 있다. 소나무의 불굴과 달의 영원은 변함없는 선비의 마음과 무관하지 않으며 상자연의 도를 깊이 체득한 그의 내면에서 우러난 것이다.

Ungok was respected by descendants by protecting the mind of truth and cultivating his mind. Ungok sees history flowing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ideal society. This leads him to live in the country far away from the city. His poems also remind us of the lives of scholars who live in loyalty. It shows that they can empathize with themselves staying in nature. He also expressed that nature has given him many benefits. His poem clearly shows the meaning of staying in nature and living in nature is well illustrated. Ungok abandoned his greed and desire and hoped to live as a true human being. In his poems, this mind is well expressed and contains a clear and clean spirit. A clear and pure spirit is expressed with no desire for the world, so it is expressed with a spirit of greed. Ungok shows that his spirit has nothing to do with worldly desires. He watched nature grow all things, and he also hoped that nature would be consistent with the weather that grows all things. It showed that even a single grass is a precious creature and that it is a true heart to love it very much.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his heart that adores nature is sincere. Ungok's mind sought to stay away from worldly affairs and become one with nature.

Ⅰ. 들어가는 말

Ⅱ. 山水詩를 통해 본 耘谷의 詩精神

Ⅲ. 맺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