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운곡학회논총.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운곡 원천석 시의 감각적 형상화 양상

The Aspect of Sensible Configuration in Ungok Won Chon Seok’s Poetry

  • 13

본고는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 시의 감각적 형상화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운곡은 여말선초 학자이자 시인이다. 그의 시 중에서 시인의 오감을 활용하여 감각적으로 표현한 작품에 초점을 두었다. 특히 시각과 청각, 그리고 미각의 멋을 담은 작품을 연구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곡이 꽃에 대하여 읊은 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꽃은 시인의 시선에서 감각적인 심상을 가장 극명하게 드러낼 수 있는 소재이다. 운곡도 그의 많은 작품 중에서 시제(詩題)에 꽃 관련 작품이 11題13首이다. 운곡은 주로 관조적인 자세로 달밤에 꽃을 대하는 표현은 맑으면서도 깨끗한 청징(淸澄)의 미로 형상화되었다. 둘째, 운곡 시 중에서 새와 벌레 소리에 집중한 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작은 풀벌레 소리에서부터 닭 울음소리, 꾀꼬리 소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를 중심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운곡 시의 소리는 시인의 수심과 근심을 승화시키는 차분한 정취로 묘사되었다. 셋째, 운곡 시의 먹고 마시는 맛에 대한 다양한 표현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의 시제에 먹고 마시는 음식을 소재로 한 작품은 모두 33題46首이다. 음식을 통해 교류와 소통, 공감과 화합의 멋을 표출하고 있다. 더불어 맛에 대한 표현으로만 머물지 않고 시각과 후각에 대한 감각을 복합적으로 혼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sensible configuration in Ungok Won Chon-Seok’s Poetry. Ungok is a scholar and poet of the late Goryeo Period and the early Joseon Period. This study gave a focus on the poetry where his five senses were sensibly represented. In particular, those with elegant tastes of vision, auditory sense, and palate were examin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poems that represented flowers. Flowers are a material of poetry that can most clearly show sensible images. Of lots of poems Ungok wrote, there were 13 poems with 11 themes on flowers. His meditative expression on flowers in moonlit nights was very refined. Second, this study gave a focus on the poems that expressed the sound of birds and insects. From tiny grass bugs sound, cock crowing to bird’s eye sound, his poems configured diverse materials. Such sound was calmly depicted in his poetry so that agony and depression he felt could be transcended. Third, this study examined diverse expressions on tastes such as eating and drinking. There are a total of 46 verses with 33 themes on food eating and drinking. The poems expressed tastes of sympathy, communication, exchanges and reconciliation through food beyond the expressions on tastes by mixing senses of vision with smell.

Ⅰ. 머리말

Ⅱ. 視의 관조와 청징

Ⅲ. 聽의 울림과 정취

Ⅳ. 味의 흥취와 멋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