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곡은 여말선초에 은거의 삶을 살았던 인물로 유명하며, 시조는 네 작품이 남아 있다. 필자는 운곡의 시조가 시조라는 장르의 출발점에 있는 중요한 작품이라는 인식과 함께 후대의 작품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운곡이 기술한 고려에 대한 절의가 후대에는 어떤 모습으로 전승, 수용되었는지에 대해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운곡이 창작한 네 작품의 시조 중 한 작품은(4002) 후대에 전승, 수용되지 않아 본고는 세 작품의 시조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운곡의 시조 4723을 수용한 작품은 총 4작품으로 4723에서 운곡은 흥과 망이 운수에 있다고 하였으며, ‘망’의 때를 맞이한 고려의 상황을 이 작품에서 노래하였다. 이를 수용한 4722는 송강의 시조로 4723과 겉모습은 상당히 닮아 있지만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는 달랐다. 송강은 ‘망’보다 현재의 ‘흥’에 충실한 모습을 보인 것이다. 주옹의 시조 2223의 초장과 종장은 운곡의 시어를 수용, 중장은 삼봉(三峰)의 작품을 수용하고 있었다. 두 작품 모두 고려를 소재로 하고 또 너무나도 유명하여 자연스럽게 발현된 것이라 하겠다. 시조 5445는 운곡의 시조를 수용하였으나 표현상의 변이가 더해 만월대의 슬픔을 묘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시조 5295의 경우는 작자가 운곡과 같은 상황에 처하였기에 운곡의 시어를 수용하였다. 하지만, 운곡처럼 국가의 ‘망’을 노래하는 것이 아닌 국가의 ‘흥’을 바라는 마음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운곡의 시조 946은 총 두 작품에서 종장만 수용되었다. 특히, 시조 946은 대나무(竹)를 소재로 하여 굳은 절의를 보여주었지만 이 작품을 수용한 시조 1229와 시조 445에서는 ‘국화’를 소재로 한 것이 특징이었다. 운곡의 시조 1866은 초장과 중장에 엄자릉의 고사를 기술하고 있으며, 단 한 작품에서 수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운곡이 엄자릉의 고사를 수용한 것은 자신이 은자로 살아가는 것을 이해시킬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시조 1867은 운곡의 시조를 수용하여 ‘은일’을 가장 완벽하게 표현하고 있었다. 이처럼 운곡의 세 작품은 15세기부터 20세기의 시조 작품에 수용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운곡 시조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Ungok is famous as a person who lived a life of seclusion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four works of Sijo remain. The author tried to analyze Ungok’s Sijo as an important work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genre and how it influenced the works of later generations.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how the rituals for Goryeo honor by Ungok were transmitted and accepted in the future generations. One of the four poems created by Ungok (4002) was handed down and not accepted. There are a total of 4 works that accommodated Ungok’s progenitor 4723. Ungok said that rise and fall are in fortune, and the situation of Goryeo, facing the time of ‘fall’, is sung in this work. 4722, who accepted this, is Song Kang’s progenitor and is very similar to 4723 in appearance, but the point of the story is different. Song Kang was more faithful to the present ‘rise’ than ‘fall’. Chojang and Jongjang of Jooong’s founder 2223 accommodated the poems of Ungok, and the lieutenant general accommodated the works of Sambong(三峰). Both works are based on Goryeo and are so famous that they appear naturally. Sijo 5445 accepted the Sijo of Ungok, but added a variation in expression to describe the sorrow of Manwoldae. Lastly, in the case of Sijo 5295, the poets of Ungok were accepted because the author was in the same situation as Ungok. However, I was able to confirm that it was not singing the national’s ‘fall’ like Ungok, but expressing the desire for the national ‘rise’. In Ungok’s 946 works, only the final chapter was accepted. In particular, Sijo 946 showed honor by using bamboo as a material, but Sijo 1229 and Sijo 445, which accepted this work, were characterized by using ‘chrysanthemum’ as the material. Ungok’s 1866 sijo describes the history of Umjareung in the first and middle chapters,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ccepted in only one work. Ungok accepted the tale of Um Jareung, because he needed to understand that he was living as a hermit. Sijo 1867 was the most perfect expression of ‘Eun-il’ by accommodating the Sijo of Ungok. As such, the three works of Ungok were accepted as the Sijo works of the 15th to 20th centuries, and the status of the Sijo of Ungok could be confirmed.
Ⅰ. 들머리
Ⅱ. 운곡 시조의 수용 양상
Ⅲ. 운곡 시조 수용 작품의 문학사적 의의
Ⅳ.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