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운곡학회논총.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삼국유사』 효선편을 읽는 잣대

A New Approach to the Chapter 9 “Hyoseon” of Samgukyusa

  • 12

『삼국유사』의 孝善篇은 篇名이 ‘효선’임에도 첫째 조목 「진정스님은 효도와 추선 모두 아름답다」에만 효선이란 말이 보인다. 진정스님이 생전에 어머니의 뜻을 거역하지 않았고, 돌아가신 뒤에는 왕생법회를 열었으니 孝(順)과 (追)善을 둘 다 잘했다고 칭송한 내용이다. 둘째 조목 「김대성이 두 세상의 부모에게 효도하다, 신문왕 때」는 신문왕 때 김대성이 전생의 부모를 위해 석불사를 짓고, 현생 부모를 위해 불국사를 지었음에도 ‘두 세상 부모에게 효도했다.’고만 하여 善에 대한 언급이 없다. 하지만 편명이 ‘효선’이므로 전생 부모에 대한 효는 ‘大孝’로서 부모를 윤회로부터 벗어나게 해드린다는 추선과 같은 뜻으로 썼다. 셋째 조목은 「향득 사지가 다릿살을 베어 아버지께 바치다」로서 犧牲孝를 실천한 향득에게 나라에서 벼 500섬을 내렸다는 내용이다. 추선이나 내세 같은 언급 자체가 없으니 편명 ‘효선’에는 절반이 못 미치는 효행이다. 넷째 조목은 「손순이 아이를 묻다, 흥덕왕 때」는 자식을 묻어 (입 하나 줄여) 어머니를 챙기려했으나 땅에서 돌종이 나왔다는 이야기다. 하늘의 계시로 알고 모두 거두어오자 나라에서 집과 곡식을 내렸는데 옛집은 弘孝寺라는 절로 만들었다. 다섯 째 조목은 「가난한 딸이 어머니를 봉양하다」이다. 젊은 여인이 눈먼 어머니를 봉양하다가 더 어렵게 되자 고용살이로 들어간 것을 어머니가 알아채어 서로 부등껴 울었다. 화랑 효종랑과 낭도가 이들을 돕고 흥덕왕은 집과 곡식으로 포상하였다. 집은 나중에 兩尊寺라는 절이 되었다. 첫째와 두 번째 조목의 시주는 자신의 생존을 위협할 정도인데 그만큼 응보를 받는다 하니 과연 민초들의 행복을 말하는 것인가 아니면 불교계의 번영을 앞세우는 것인가에 대해 반성해볼 과제다. 세 번째 조목부터는 세속의 효 이야기다. 『삼국유사』는 마지막에 효선편을 두었지만 실제 들려주는 이야기는 선남선녀의 눈높이에 맞추어 익히 알려진 효행담을 다음 세대에 전한다. 이러한 효야말로 국가가 바라는 충효사상이므로 불교의 존재가치를 보여준다.

The name of chapter nine of Samgukyusa, “Hyoseon”, has been translated only “Filial Piety”, but it consists of two Chinese characters, and thus it needs reconsideration. The first article of the chapter is “Master Jinjeong’s Filial Piety and Praying for Passed Parents Were Both Beautiful”, which wrote about Jinjeong’s filial obedience and praying for his mother’s rebirth in Paradise. Both meanings of filial obedience and praying for parents are reflected in this article. The second article, “Daeseong Was Dutiful to His Previous and Present Parents During the Reign of King Sinmun”, records his construction deeds in memory of them. The third article, “Saji Hyangduk Fed His Father with His Own Thigh Flesh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deals with his sacrificial filial piety. Although it is a filial son’s story, the place name ‘Filial Piety village’ and its related legend are related to loyalty. The fourth article, “Son Sun Attempted to Bury His Child under the Ground During the Reign of King Heungdeok”, tells that he saves his son as he unexpectedly unearthed a stone bell on the site. Afterwards, the king granted Son Sun a fine house and rice. The five article, “A Poor Lady Who Served Her Mother”, also wrote her filial piety. She received help from Hwarang and the king who reigned at that time. Among the five articles only the first one matches the second character seon, i.e. ‘praying for the passed parents’ as well as the first character hyo filial piety. In the second article, the character hyo includes the meaning ‘praying for the passed parents’. The other three articles are written on filial piety only. Yet all the articles still seem to preach ordinary people, including children and elders, during the Buddhist Festivals. This is a main reason why all the articles are well-known and easy to understand. The theme of donation in the first two articles seems critical for Buddhist laymen, who are inevitably poor, though the Buddhist monks insist that they would be rewarded. Regardless of the theoretical justification, Buddhist institutions become more prosperous and more powerful as a consequence.

Ⅰ. 머리말

Ⅱ. 효선편 읽기

Ⅲ. 효선편을 둔 뜻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