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박경리의 대하소설 『토지』에 나타난 이주공동체 구성원의 궁극적 목적인 귀환과 귀환을 거부하는 인물을 고찰하였다. 이는 귀환이라는 명제가 이주공동체 구성원의 궁극적인 목적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본능적인 귀소성을 거부하는 인물들을 살펴봄으로써 귀환이라는 명제의 당위성에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 것이다. 박경리의 대하소설 『토지』에 나타난 간도의 공동체는 디아스포라의 개념보다는 이주공동체의 개념에 가깝다. 가문 복원을 위한 목적을 가진 최서희와 선영의 봉사라는 유교적 지향을 지닌 영팔, 이용 등을 제외하고는 공동체 구성원 대부분이 필사적으로 귀환해야 한다는 명백한 의지가 드러나지 않고 있다. 자발적으로 이주한 인물의 귀환은, 합리적이고 정당한 명분이 없다면, 타당성을 얻기 어렵다. 자발적 이주는 강제적 이주와는 달리 그 이주의 원인에 있어 부정적인 기억이 주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주체가 자율적으로 선택한 이주는, 코헨의 ‘상상의 고국에 대한 이상화와 그것의 유지, 복원, 안전 및 번영, 심지어 창조에 대한 집합적인 헌신’이라는 요소와 ‘귀환 운동’이라는 요소에 부정적일 수 있다. ‘귀환’이라는 명제는 자발적 이주, 강제적 이주의 공통 목표가 될 수 없다. 자발적으로 선택한 이산은, 강제적 이산보다 훨씬 본능적 귀소성이 덜하다. 강제적 이주의 경우, ‘귀환’ 즉 고향으로 돌아오는 것은 최고의 가치다. 그러나 자발적 이주의 경우, 귀환은 거부될 수 있다. 고향에서 체험한 기억이 고통스럽거나 굴욕적인 경우, 고향이라는 공간을 부정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고향이란 사전적 의미로, ‘나서 자란 곳’과 ‘보편정신의 안식처’다. 따라서 귀환을 거부하는 인물들이 등장하는 박경리의 『토지』를 살펴보는 것은, 작가의 확장된 공동체 의식을 심도 있게 논의할 지침이 될 것이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return, which is the ultimate of the Migrant community, and the refusal consciousness of return, in Park Kyung-ri’s epic novel 『Toji』. This examines the characters rejecting this instinctual homing, despite the proposition of return that is the ultimate purpose of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absence of homeland in 'refusal of return'. Gando community in Park Kyung-ri’s epic novel 『Toji』 is closer to the notion of migrant community than Diaspora. This is because, most of the members of community, except Choi Seo-hui who have the purpose of family restoration, Yung-pal who have the confucian orientation, and Lee Yong, etc, do not reveal the obvious willingness that have to return to the homeland they lived. The return of the characters, who migrated voluntary, is hard to be done if they do not have the rational justification they accept. In addition, the main cause of voluntary migration, unlike forced migration, is often caused by the negative memories. Because the migration is that the subject choose voluntary, it may be negatively to Cohen’s ‘(4) an idealization of the real or imagined ancestral home and a collective commitment to its maintenance, restoration, safety and prosperity, even to its creation’ and ‘(5) return movement’. This study considered that Gando community in Park Kyung-ri’s epic novel 『Toji』 is closer to the notion of migrant community than Diaspora, therefore, and used the term migration community. The voluntary and forded migration, that is the causes forming the migration community in the novel, are not the same purpose on ‘return’ which is the ultimate purpose of the community’s members. Voluntary separation is less homing instinct than forced separation. In the case of forced migration, the return, i.e. the returning hometown, is considered the best value. In the case of voluntary migration, however, return can be rejected. If the memories experienced in the homeland are painful and humiliating, the space on homeland can be denied and rejected. The homeland means ‘the born and raised place’ as well as ‘sanctuary of universal sprit’ as lexical meaning. So far, however, the discuss on the characters rejecting symbolism of homeland is not sufficient. Examining Park kyung-ri’s Toji featuring the characters rejecting the return, therefore, can be the criterion that discuss author’s extended community spirit in depth. Homing is known as the universal origination that human has, out of the status and the class. However, in the modern social situations, the notion of homing can not be modified. The absence of homeland of modern people is deny the identity and changing the inherent instinct in man.
Ⅰ. 서론
Ⅱ. 『토지』에 나타난 ‘이주공동체’
Ⅲ. 자발적 이주와 강제적 이주
Ⅳ. ‘귀환’과 ‘귀환거부’ 인물 고찰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