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운곡학회논총.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이중모음 /ㅕ/의 핵모음 탈락 원인 고찰

A Cause on the Drop Out of Diphthong /ㅕ/ Core Vowel

본 연구는 이중모음 /ㅕ/의 발화 시 핵모음이 탈락하여 /ㅣ/로 실현되는 오류의 원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동사 ‘켜다’, ‘펴다’를 중심으로 /ㅕ/가 이중모음으로 발화되는 양상과 단모음으로 발화되는 양상을 살폈다. 또한 화자들이 ‘켜다’와 ‘펴다’를 ‘키다’와 ‘피다’로 발음하는 원인을 음운적 측면, 문법적 측면, 의미적 측면, 통시적 측면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활음과 핵모음으로 이루어져 있는 이중모음의 단모음화는 활음이 탈락하여 핵모음만 남는 현상이다. 그러나 /ㅕ/는 핵모음이 탈락하고 활음이 남아 /ㅣ/로 발음되는 경우가 존재하는데, 이에 대한 원인을 ‘켜다’, ‘펴다’를 통하여 논하고자 하였다. 먼저, 음운적 측면에서는 /ㅕ/를 발화할 때 혀의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ㅣ/로 발음한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문법적 측면에서는 화자들이 ‘켜’와 ‘펴’를 어간에 어미 ‘-어’가 붙은 형태로 인식하고 단어의 기저형을 각각 ‘키다’, ‘피다’로 발음한다고 보았다. 의미적 측면에서는 ‘켜다’와 접미사 ‘-키다’, ‘펴다’와 ‘피다’의 의미에서 유사성을 발견하고 이를 혼동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발음이 용이한 쪽을 선택하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통시적 측면에서는 ‘켜다’와 ‘-키다’, ‘펴다’와 ‘피다’의 어원에 공통된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In this study, the cause of the error realized as /ㅣ/ due to the drop out of the core vowel when the diphthong /ㅕ/ is uttered was investigated.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verbs ‘켜다’ and ‘펴다’, the pattern of /ㅕ/ being uttered as a diphthong and a pattern of being uttered as a monophthong were examined. Also, the cause of the speakers' pronunciation of ‘켜다’ and ‘펴다’ as ‘키다’ and ‘피다’ was divided into phonological, grammatical, semantic, and diachronic aspects. Monophthongization of a diphthong consisting of an active consonant and a core vowel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active consonant is dropped and only the core vowel remains.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ㅕ/ is pronounced as /ㅣ/ after the core vowel is dropped and the active consonant remains. First, from a phonological point of view, it was considered that /ㅕ/ was pronounced as /ㅣ/ in order to minimize the movement of the tongue when uttering. Next, in terms of grammatical terms, it was observed that speakers recognized ‘켜’ and ‘펴’ as a form with the ending ‘-어’ attached to the stem, and pronounced the base form of words as ‘키다’ and ‘피다’, respectively. In terms of semantics, similarities were found in the meanings of ‘켜다’ and the suffixes ‘-키다’, and ‘펴다’ and ‘피다’, and they were confused, so that the relatively easy pronunciation was selected. Lastly, in the diachronic aspect, it is believed that this is because there is a common part in the etymology of ‘켜다’ and ‘-키다’, and ‘펴다’ and ‘피다’.

Ⅰ. 서론

Ⅱ. ‘켜다’, ‘펴다’의 발음 실현 양상

Ⅲ. ‘켜다’, ‘펴다’에서의 핵모음 탈락 원인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