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남명의 「유두류록」에 나타난 지명의 유래와 의미를 아는 데 목적이 있다. 남명은 1558년 4월에 12회째 지리산을 유람하였다. 「유두류록」에는 개별 지명이 84개, 총지명이 154개가 나온다. 평균 빈도 1.83개이다. 고빈도 지명은 두류산, 신응사, 쌍계사, 호남 등이다. 이들을 현재 사용하는 지명, 옛 지명, 사라진 지명, 전설상의 지명, 중국 지명으로 분류했다. 덕산은 큰 산을 뜻하는데 지리산이다. 두류산은 지리산의 옛 이름이다. 두루뭉술하다는 뜻의 ‘두루, 두리’가 한자로 표기되면서 두류산이 되었다. 마현은 말띠고개를 말한다. 큰 고개라는 뜻이다. 지장암은 오랫동안 잊힌 이름이었다가 최근에 그 터를 발견하였다. 암자를 받치던 축대, 기왓장을 볼 수 있었다. 칠송정에서 칠송의 의미는 일곱 그루의 소나무이다. 정자 밑에 칠송대라는 바위에 새긴 글자를 찾을 수 있었다. 다회탄은 덕천강의 한 부분으로 창촌교가 있는 자리보다 조금 위쪽에 있었다. 두리현은 하동군 횡천에서 북천으로 넘어오는 고개로 현재의 황토재를 말한다. ‘두리’는 ‘두루’의 이곳 방언이다. 장항동은 노루목과 동일한 지명으로 노루메기, 느진목재에서 보듯이 ‘경사가 완만한 길목’이란 의미이다. 「유두류록」의 지명 84개 중 현재 사용하는 지명이 37개, 44.05%로 나타나 가장 많았다. 수백 년 전에 사용하던 많은 지명을 지금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지명의 보수성을 나타내는 근거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know the origin and meaning of the place name shown in 「Yuduryurok」. Nammyeong toured Jirisan for the 12th time in April 1558. There are 84 individual place names and 154 total place names in 「Yuduryurok」. The average frequency is 1.83. The place names with high frequency include Duryusan, Sineungsa, Ssanggyesa, and Honam. They are divided into currently used place names, old place names, disappeared place names, legendary place names, and Chinese place names. Deoksan means a large mountain, which is Jirisan. Duryusan is the old name of Jirisan. Duru, Duri, which means ambiguous, wa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became Duryusan. Mahyeon means Malttigogae. It means a big mountain pass. Jijangam has long been a forgotten name, but recently discovered its old site. I could see the embankment that supported the temple and roof tiles. Chilsongjeong was the name of the pavilion. The meaning of Chilsong is seven pine trees. I was able to find the letters engraved on the rock called Chilsongdae. Dahoetan is a part of the Deokcheongang and was located a little above the site of Changchongyo. Duri-hyeon is a pass from Hoengcheon to Bukcheon in Hadong-gun and seems to be the current Hwangtogogae. “Duri” is a dialect here of “Duru”. Janghang-dong is the same place name as Norumok, meaning “a path with a gentle slope” as seen in Norumegi and Neujinmokjae. Of the 84 place names of 「Yuduryurok」, 37 are currently used, and the ratio was the highest at 44.05%. The place name used hundreds of years ago is still being used. This is the basis for indicating that the place name does not change well.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유두류록」에 나타난 지리산 여정
Ⅲ. 지명 목록
Ⅳ. 지명의 유래와 의미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