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곡은 忠節과 隱逸의 인물로 알려져 왔다. 조선 중기 士林들은 자신들의 필요에 의해 禑昌眞王說과 山林에서의 隱居生活을 근거로 이처럼 평가했고, 지금까지 답습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기존의 충절과 은일을 넘는 운곡의 사상적인 면과 실천적인 면모를 중심으로 인생관을 조명해 보았다. 『예기』 <예운편>의 大同에 대한 설명으로 바탕으로 그의 사상을 추적했다. 그 결과 운곡의 사상과 교육 분야의 족적을 통해 운곡의 인생관이 친자연적, 평등적 대동사상을 바탕으로 함을 밝힌다. 운곡은 당대가 요순시대가 되기 바랬고, 실천했다. 天下爲公의 인식으로 누구든 능력있는 사람이 백성을 잘 다스려주기 바라는 選賢與能을 추구했고, 講信修睦을 실천했다. 신의를 강의하는 교육자의 역할을 했고, 融攝의 사상을 시로 표출하고, 사람을 가리지 않고 교유하며 화목을 실천했다. 강신의 모범으로 우창진왕설을 말했고, 三敎一理詩로 修睦을 설명했다. 講信의 구체적으로 실천으로 교육적인 足跡을 남겼다. 시에 나오는 원문질 뿐만 아니라 沈繼年, 徐選, 曺恰, 李攀桂와 같은 출중한 직전 제자를 두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곡의 교육활동의 성과는 충분히 알려지지 않았다. 운곡이 살았던 시기에 우창진왕설이나 삼교일리는 위험한 주장이었기 때문이다. 운곡 스스로가 史書를 숨겼듯이 제자들과의 交遊를 숨기고 살았을 수도 있다. 운곡의 시에서 나나타는 운곡의 삶은 시대적 격동기에 경계에 서서 우주를 품고, 평화롭고, 자유로운 大同社會를 꿈꾼 흔적을 볼 수 있었다.
Ungok is known for his loyalty and seclusion. In middle Joseon, Sarimpa assessed him this way based on Woochangjinwangseol and his reclusive life in mountains to meet their needs. Their practice has been followed till today.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his view of life with a focus on his ideological and practical aspects beyond the old loyalty and seclusion elements, as well as trace his ideas based on the Daedong explanation of the <Yewoon> anecdote in The 『Book of Rites』. His traces in the fields of ideology and education show that his view of life was based on the nature-friendly and egalitarian Daedong ideas. Ungok wished that his times would be like the times of Emperors Yao and Shun[堯舜時代] and practiced accordingly. Based on his perceptions of Cheonhawigong[天下爲公], he sought after Seonhyeonyeoneung[選賢與能], which reflects his wish for able individuals ruling people whoever they were, and practiced Gangsinsumok[講信修睦]. He played the roles of an educator teaching about loyalty, expressed the ideas of Yungseop in his poems, and practiced harmony by associating with all people. He talked about Woochangjinwangseol[禑昌眞王說] as a model of trust before teaching about it and explained the practice of harmony with Samgyoilisi[三敎一理詩]. He left his educational marks through the specific practice of Gangsin. He had preeminent Jikjeon pupils such as Sim Gye-neyon, Seo Seon, Jo Heup, and Lee Ban-gye as well as his pupils in his poems. Despite these achievements, however, hi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not known enough because Woochangjinwangseol and Sambyoili were dangerous arguments during his days. He might have hidden his association with his pupils just like he hid his historical books. Based on his Gangsinsumok activities, his life holds the traces of his embracing the universe and dreaming about a peaceful and free Daedong society on the border of turbulent times.
Ⅰ. 耘谷의 人生觀에 대하여
Ⅱ. 운곡 인생관의 재발견을 위한 새로운 시각
Ⅲ. 耘谷의 詩로 본 大同의 인생관
Ⅳ. 大同社會를 위한 講信 활동
Ⅴ. 忠節과 隱逸에서 大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