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운곡학회논총.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耘谷의 紀行詩와 空間經驗의 확장

The Sino-Korean travel poetry of Ungok and the expansion of his travel experience

  • 5

운곡 원천석은 청장년기에 5번의 여행을 하면서 기행시들을 남겼다. 1차 여정의 기행시들은 자연 풍경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2차 여행의 기행시들은 역사적 현실과 당대 사람들의 생활 처지를 다양하게 보여주기 시작한다. 시 형식을 다양하게 시도했고 시 세계를 열어두었다. 3차 여행의 기행시들은 풍경이 자아를 달라지게 하거나 자아가 풍경을 자기화하는 양상을 다채롭게 보여주었다. 4차 여행의 기행시들은 이전에 모색한 다양한 기행시의 내용과 기법들을 두루 구사했다. 풍경을 보이는대로 재현하는가 하면, 풍경을 자아의 마음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했다. 또 풍경과 자아가 조화롭게 공존하는가 하면 자아의 정서나 심사를 일방적으로 토로하기도 했다. 5차 여행의 기행시들은 이전의 여행 공간과 경험을 두루 되돌아보고 또 지금의 여정에서 견문하는 바와 자아의 감회를 다양하게 연결시켰다. 나아가 여행의 경험을 통해 자기를 돌아보고 인생 전체를 떠올려서 교훈을 만들어내는 단계에 이르렀다. 그 힘으로 현실의 삶과 인물에 대한 다채롭고도 설득력 갖춘 우의를 생성했다. 운곡 기행시는 용사를 많이 구사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보였다. 여행 중 목도한 풍경자체를 그대로 소박하게 표현했고 자아의 정서적 경험에 대해서도 충실했다는 증거다. 그것은 시인으로서의 자기 주체성을 곧게 잘 지켰다는 뜻도 될 것이다. 운곡의 기행시는 우리나라 기행시의 모범을 모색하고 그 몇 가지 가능태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시사적 의의를 갖는다.

Ungok Won cheon-suk left Sino-Korean travel poetry after five country tours during his adolescence. The travel poems from the first tour directly depicted natural landscape. The travel poems from the second tours began to represent a wide variety of people and their everyday lives. Won also attempted formal experiments at this stage of poetry writing and expanded his view on the poetry and world. The travel poems from the third tour portrayed the diverse ways landscape affected his poetic self and identity internalized the landscape. The fourth period travel poems incorporated the results of Won's active experimentation with a wide variety of poetry writing techniques and contents. He would represent landscape exactly as it was seen. On the other hand he would use the landscape as a method to express inner soul. In those poems landscape and The poetic self co-existed harmoniously, but sometimes both exclusively expressed their own sides In the fifth period travel poems Won connected his learning and sentiments by reminiscing the travel experience. He further derived life's lesson from his travel experience which helped him create very persuasive and colorful allegory about real people and their lives. Ungok's travel poetry could be characterized as a very scarce use of quotations, which proves that he would rather focus on portraying the landscape itself and his own sentimental experience of the landscape. His own identity as a poet was fully intact in those travel poems. Ungok's travel poetry has significant literary value in its exploration of a model form of Sino-Korean travel poetry.

Ⅰ. 머리말

Ⅱ. 자연 풍경의 재현과 현실의 배제

Ⅲ. 역사적 현실과 당대 현실의 비판적 수용

Ⅳ. 풍경의 자아화와 정서의 발현

Ⅴ. 풍경 스케치와 정서 표출의 공존

VI. 풍경의 적극적 경험과 寓意의 생성

VII. 결론 - 운곡 기행시의 특징과 한시사적 의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