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운곡학회논총.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耘谷의 昌平意識과 그 道德的 經世觀

Ungok's Changpyeong Consciousness and Moral Viewpoint of Governance

鄭鴻慶(1768~?)은 耘谷思想을 “昌平”이라고 규정한 바 있다. ‘창평’은 ‘修己로 번창하게 한 후에 고르게 한다.’는 뜻을 지닌다. 창평을 구현하기가 어려우나, 화자는 창평의 지향가치인 樂天의 경지에까지 올랐다. 창평이 낙천의 도덕이므로, 창평과 결부된 경세관은 도덕적일 수밖에 없다. 이른바 도덕적 경세관은 아주 뚜렷하다. 적용 범위는 ‘愛民과 輔國과 觀勢’이고, 표출 방법은 ‘對立項 設定’이다. 표출 방법을 정리하면, 수동적인 백성과 능동적인 백성, 高麗 君主와 新國 君主, 脫華夷論과 華夷論이 된다. 표출 방법을 대립적으로 설정한 까닭은 능동적인 백성과 고려 군주와 탈화이론을 부각시키기 위함이다. 어느 쪽의 시각이든 간에 백성이 근본 토대라고 여긴다는 점에서, 화자에게 ‘백성에 입각한 창평의식’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있어 보인다. 이상의 논점을 통해, 운곡사상의 의의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東人意識을 수용하여 탈화이론을 주장하고 關係美學에 입각하여 大同社會를 지향한다는 점과 수양으로 도덕적 경세관을 확립하고 道德不感時代를 극복하고자 한다는 점이 그것이다.

Jong Hong-gyeong(1768~?) defined the Ungok idea as “Changpyeong,” which means “making it prosper through Sugi and then grow even.” Even though it was difficult to embody Changpyeong, the speaker reached even the level of Nakcheon, which is one of the values that Changpyeong sought after. Since Changpyeong is the morality of Nakcheon, a viewpoint of management related to it is inevitably moral. So-called moral viewpoints of management are very clear. The scope of their application encompasses “Aemin, Boguk, and Gwanse,” and the method of their expression is to “set conflict clauses.” When the method of their expression is arranged, it is summed up in passive and active people, monarch of Goryeo and monarch of a new state, and Tal-Hwai theory and Hwai theory. Such a method of expression was set in a confrontational approach in order to highlight active people, monarch of Goryeo, and Tal-Hwai theory. Whichever the viewpoint was, the fundamental basis was people, which reflects the speaker's intention to highlight “Changpyeong consciousness based on people.” Based on these points, the study found significance in the Ungok idea as follows: he argued for the Tal-Hwai theory by accepting the Dongin consciousness, was oriented toward the Daedong society based on the aesthetics of relationship, and tried to establish a moral viewpoint of management and overcome the era of no morality through training.

Ⅰ. 왜 昌平意識인가?

Ⅱ. 창평의식의 志向價値, 그 樂天의 道德

Ⅲ. 道德的 經世觀의 세 양상

Ⅳ. 耘谷의 道德的 經世觀이 지닌 意義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