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전통적인 사서(史書) <지리지> 속 원주(原州) 지명의 출입(出入)과 변천(變遷)에 관한 연구이다. 원주에 대한 최초의 기록인 『삼국사기』<지리지> 35권 속 고구려 지명 ‘평원군(平原郡)’으로부터 원주 주요 지명 및 세부 지명들이 『고려사』<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조선지지자료』(1911), 『한국지명총람』<강원편>(1967) 등 전통적인 역사서에 어떻게 기록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각 지리지들의 작성 과정에 어떠한 지명이 어떠한 맥락에서 추가되었고 삭제되었는지, 혹은 해당 지명이 어떠한 표기로 기록되었고 그 표기 기록은 어떠한 양상으로 변천되었는지 등에 대한 것이다. 본고의 논의 결과는 ‘원주(原州)’의 주요 지명 및 하위 세부 지명의 변천 과정을 설명하는 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이해된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enter-out and Changes of the name of Wonju in the traditional History “Geography”. From the first record of Wonju 9n 『Samguksagi』 <Geography>, that is ‘Pyeongweon-gun(平原郡)’, we examined how major and detailed names of Wonju have been recorded in traditional historical book’s <Geography> that is Goreosa<Geography>, Sejongsillok <Geography>,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Joseonjijijaryo (1911), HangukJimyeongchongram <Gangweon-Do>(1967). It noted that in the course of writing each Geographies, in what context the nominations were added and deleted, or in what way the nominations were recorded and their notation changed.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resource to describe the transition process of key nominations and sub-detail nominations in Wonju.
Ⅰ. 들어가며
Ⅱ. 초기 역사서 속 원주 지명
Ⅲ. 조선 전기 역사서 속 원주 지명
Ⅳ. 조선 후기 역사서 속 원주 지명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