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운곡학회논총.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원주 지역어 조사 연구의 발전 방안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onju Regional Language Survey and Research

본고는 원주 지역어 조사 연구의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원주 지역은 역사적 배경이나, 지리적 위치에서 중요하다. 역사적으로는 강릉과 원주의 첫머리를 따서 강원도의 명칭을 만들었으며, 지리적으로는 이 지역이 강원도 방언에 속하면서 인접의 경기도 방언· 충청북도 방언의 성격을 보이는 접촉방언지대이다. 시 직할동을 제외한 7개 지역을 음운· 어휘면에서 조사한 것과 음운면의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연구한 원주 지역어의 음운연구는 일차적으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제보자 선정의 문제, 조사 항목 배치 및 표기의 문제, 확인 조사의 문제 등이 있었다. 이점을 염두에 두면서 시 직할동 지역의 조사지점을 선정하여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조사 자료로서의 가치는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힘들고 어려운 현장 자료조사이지만 정확한 자료수집이야말로 방언 또는 지역어 연구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조사 방법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만큼 이들 연구에 있어서 자료조사가 생명이기 때문이다. 이 지역어 조사 연구의 발전 방안에 대해선, 어법면 조사를 포함한 연구 목적에 따른 자료조사 확충과 기존 연구자료 활용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상에서 언급한 점들을 보완한다면 이 지역어 조사 연구는 방언연구사에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리라 확신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the Wonju Regional Language Survey and Research. The Wonju region is important in its historical background and geographic location. Historically, Gangwon-do was named after the first heads of Gangneung and Wonju, and geographically, this area belongs to the Gangwon-do dialect, and is a contact dialect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ighboring Gyeonggi-do and Chungcheongbuk-do dialects. The phonological and vocabulary investigation of 7 regions excluding the city’s direct control dongs and the phonological studies of Wonju local languages based on the survey data of the phonological aspects are of primary significance. However, there were problems with the selection of informants, problems with the arrangement and marking of survey items, and problems with confirmation surveys. With this in mind, if the survey is conducted by selecting a survey site in the city’s direct control dong area, the value of the survey data will be recognized. It is a hard and difficult field survey, but since accurate data collection is the basis for dialect or local language research, it cannot be overemphasized on the importance of the method of investigation on it. This is because data research is vital in these studies. A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language research, we discussed the amplification of data surveys and the utilization of existing research materials for research purposes, including grammatical survey. I am confident that this local language survey and research will take an important place in dialect researchers if these points mentioned above are supplemented.

Ⅰ. 들어가기

Ⅱ. 조사 자료의 검토 및 개선할 점

Ⅲ. 조사 자료 활용 방안

Ⅳ. 앞으로의 과제

Ⅴ. 마무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