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운곡학회논총.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원주방언의 어휘 분화

The vocabulary differentiation of Wonju dialect

  • 7

이 연구는 『원주 지역어 조사(2018)』를 대상으로 원주방언의 어휘 분화 양상을 통해 어휘의 형태 분화와 의미 분화를 보이는 방언형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원주방언의 어휘적인 특징을 살피는 데에 목적이 있다. 기존 연구에서 원주방언은 음운적인 연구는 많이 있지만, 어휘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시점에서 원주지역 9개 지점의 하위 방언에 대한 어휘 분화양상을 통해 원주방언의 어휘적인 특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첫째, 원주방언의 어휘적 특징은 강원도 방언형과 함께 경기도 방언과 충북 방언영향을 입은 방언형이 병존형으로 실현된다. 이는 원주의 대부분 지역이 지리적으로 경기도, 충북 지역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것에 연유하며, 원주방언이 강원도 내에서 영서방언과 영동방언으로 구분되게 하는 전이 지역의 특징에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원주방언에는 인접 방언의 영향에 의해 한 의미소에 두 개 이상의 어형이 대응되는 어휘의 형태 분화를 보이는 어형이 확인되었다. 예컨대 우박(우박/유리/누리), 애벌빨래/매다(아이매다/애벌매다/초벌빨래), 가위(가위/가이/가새), 오디(오동/오동애/오둥에, 오데/오데이), 누에(누에/뉘에/눼), 부추(부추, 분초/분추), 곁두리(제누리/제느리/새참/새이), 김매다(김매다/짐매다/기심매다/지심매다), 키(키/치) 등이 있다. 셋째, 원주방언의 어휘에는 고대연구에 도움이 될 고어의 모습을 간직한 방언형이 많이 확인되는데, 이들은 중세국어의 어형으로부터 음운 변화를 거친 어형으로 남아있다. 국어 음운사 연구에 많은 관심을 받았던 ㅿ, ㅸ 음가가 소실되어 탈락된 어형도 있지만(가이(가위), 아이-(애벌), 뉘에, 눼(누에)), ‘ㅅ, ㅂ’으로 남아 있는 어형들(가새(가위), 지심매다(김매다), 새뱅이(새우))과 어중 ‘k’가 탈락된 어형(어둥애)과 ‘k’가 남아 있는 어형(얼게미, 얼기미) 등이 있으며, 그 밖에 고어의 모습을 간직한 ‘누리(우박), 오데, 오동(오디), 부초(부추), 제누리, 새이(곁두리)’ 방언형에서 어휘의 역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어휘의 의미적 분화 이루는 방언형은 표준어나 인접지역과 구분되는 원주방언의 어휘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예컨대 ‘얼게미/도디미(어레미, 구멍의 크기), 보굼치/다래키(바구니, 끈의 유무), 방가치/한가치(방아깨비, 암수구분), 징게미/새뱅이(새우, 大小/민물), 냅다/맵다/시굽다(맵다, 의미 확장)’는 의미적인 차이에 따라 분화를 보인다.

This paper has investigated the vocabulary characteristics of Wonju dialect through the form of vocabulary differentiation in Wonju area for the data of 『Wonju Regional Language Survey (2018)』. In sum, the result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To summarize the research we have looked at so far, we will: 1. The vocabulary characteristics of Wonju dialect tend to be mixed with the words influenced by Gyeonggi-do and Chungbuk dialects and the words characterized by Gangwon-do dialects. This is because most parts of Wonju are geographically bounded by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In addition, Wonju dialect, which belongs to the Yeongseo dialect within Gangwon-do,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area that distinguishes it from Yeongdong dialect. 2. The lexical differentiation pattern of the Wonju dialect has many types of words corresponding to two or more types of fish in one semantic elemen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neighboring dialect. Vocabulary distinctions are as follows;ubak, ebeolp’alle/ebeolmaeda 3. In Wonju dialect, there are many types that retain the old word that will help reconstruct the image of ancient Korean language-nuri/yuri, ai(maeda/p’llae), gasae, ode/odong/odonge, nwie/nwe, bunchu/boncho, jenuri, kisimmaeda/jisimmaeda, ki/chi etc. Some of these vocabulary words include ‘ㅿ’ and ‘ㅸ’ which were highly interested in studying Korean phonetic history, but some of the remaining ‘ㅅ’, ‘ㅂ’ and ‘k’ were eliminated and others were maintained. 4. The form showing semantic differentiation is as follows.; eolgemi/dodimi(the size of the hole), bogumchi/daraki(with or without strings),banggachi/hanggachi(female/male), jinggemi/saebangi(size), naepta/ maepta/sigupta(meaning expansion) etc. They exhibit semantic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specific semantics when compared to the standard language or adjacent regions.

Ⅰ. 서론

Ⅱ. 원주방언의 어휘 분화 양상

Ⅲ.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