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내방가사의 사적 흐름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많지 않다. 여기에는 대부분의 작품이 작자를 모른다는 데 가장 큰 이유가 있다. 그러나 모든 현상이 그러하듯 내방가사 또한 나름의 변화·발전과정을 거쳤음에 틀림없으니, 여성의 자전적 글쓰기에 초점을 맞춰 시대구분과 그 특성에 대해 논의해 볼 수 있다. 내방가사는 16세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창작되고 있으나, 1960~70년대 이후에 창작된 작품을 그 이전의 작품들과 동일한 위상에 올려놓고 바라보아야 할지는 의문스럽다. 자전적 글쓰기로서의 성격이 시대적 상황 속의 여성현실과 밀착되어 유지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내방가사의 사적 흐름에는 자전적 글쓰기로서의 성격이 정착해 가는 변화과정이 분명하게 있었다. 이를 의식하여 내방가사의 사적 전개과정을 구분해 본다면, 장르의 일반적인 변화과정인 발생기 - 발전기 - 전성기 - 전환기로 나눠볼 수 있다. 발생기는 자전적 글쓰기로서의 창작 경향이 등장하면서 내방가사가 출현한 시기로 16세기~임란이 해당된다. 발전기는 자전적 글쓰기의 창작 경향이 확산되면서 여성교육수단으로서의 창작 경향이 追隨하고 그에 따라 향유층이 형성된 시기이다. 임란 ~ 영·정조대가 발전기이다. 전성기는 자전적 글쓰기의 정착과 향유층의 수평적 확산을 이룬 시기로서 19세기가 해당된다. 전환기는 여성의 자전적 글쓰기가 현실에 대한 적극적 대응 양상을 보인 시기로서, 개화기 ~ 일제강점기로 말할 수 있다.
Information about creation Naebanggasa(내방가사)‘s is rare, but centering on the general development of literary history and by using both macro and aesthetic approaches, it is possible to discuss the Ag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Naebanggasa(내방가사). ’s is to the Japanese occupation from the 16th century creation. As a genre there was clearly a process of change, which can be divided into formation period - development period - peak period - transition period. The formation period is a period in which the creative tendency as an autobiographical writing emerged, and includes the 16th century to 1592’s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development period is a period in which the flavoring class is formed and the tendency to create as a means of women’s education is emerging, after 1592’s Japanese Invasion of Korea ~ Young & Jeongjo University(英正祖代). The peak period was the 19th century when the establishment of autobiographical writing and the horizontal spread of the flavoring layer. The transition period was the civilized period(개화기) ~ the 1950s, which autobiographical writing has a positive response in reality aspect. Although Naebanggasa(내방가사) after 1950s are still being created, but they are difficult to include The Age classification of Naebanggasa. Meanwhile, the writers of Naebanggasa(내방가사) are women of the Sadaebuga(士大夫家; noble class). They were the daughter-in-law and wife of a family that usually dwells in Yeongnam and is the daughter of a noble family. The families are located in Yeongju, Daegu, Seongju, Gimcheon, Pyeonghae, Hapcheon, Gangneung, etc. around Andong, so they are married families or paternal families of the creators.
Ⅰ. 서론
Ⅱ. 내방가사의 시대구분과 시대별 특성
Ⅲ.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