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향전』의 주인공은 옥황상제가 지정한 공간을 돌아다닌다. 옥황상제가 지정한 공간을 天定空間이라 할 때, 천정공간은 정보 제공 기능과 생명 구조 기능과 심신 단련 기능을 수행한다. 기능 간의 관계를 들여다보면 원리가 드러난다. ‘정보 제공 기능이 앞서서 생명 구조 기능과 심신 단련 기능을 견인하는 형세’가 곧 천정공간의 원리다. 천정공간의 원리가 작동하므로 천정공간은 실제 땅이면서도 이념적 개념이다. 실제 땅과 이념적 성격의 관계는 실제 땅이 이념적 개념의 외피를 입고 인물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고 정리할 수 있다. 주인공에게 ‘天人關係’를 부르짖으며 고난에 대응하도록 한다는 점과 주인공에게 폭넓은 시각을 부여하며 만물일체의 우주론에 입각하도록 한다는 점이 그 근거이다. <숙향전>의 주된 특징은 주인공의 존재론적 열등감을 해소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성리학적 천명에 의한 공간 운용’과 ‘천정론 전개와 ‘충효-포상’ 구도화가 존재론적 열등감 극복의 기제이다.
The main character of Sukhyangjeon wanders around the space designated by the Great Jade Emperor. The space is called Cheonjeong Space, and it performs the functions of providing information, saving life, and training the mind and body. A principle will emerge with a look into relations between the functions. The principle of the Cheonjeong Space is the “situation in which the fun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tows the functions of saving life and training the mind and body.” Since there is a principle in work in the Cheonjeong Space, the space is both actual land and an ideological concept. The relations between actual land and ideological character can be summed up in the former having immense influences on the characters in Sukhyangjeon under the covering of an ideological concept. The grounds can be found in that the main character is made to deal with hardship by crying “Heaven-man relations” and be based on the cosmology of the unity of everything with a broad viewpoint. The main feature of Sukhyangjeon is found in the process of the main character resolving her ontological sense of inferiority. She uses a couple of mechanisms to overcome her ontological sense of inferiority including the “management of space according to the Neo-Confucian will of the Heaven,” “development of Cheonjeong theory” and “composition of filial piety-reward.”
Ⅰ. 『숙향전』의 공간, 어떻게 볼 것인가?
Ⅱ. 天定空間의 기능과 원리
Ⅲ. 천정공간이 인물에 끼친 영향
Ⅳ. 천정공간에 비추어본 『숙향전』의 특징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