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삼국유사』 월명사도솔가조의 구성과 편집 방식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Editing Method of Wolmyeongsa Dosolga Item of Samguk Yusa

DOI : 10.35160/sjekh.2023.4.43.233.

일연은 『삼국유사』를 편찬하면서, 원전을 전재하거나 축약, 혹은 본인이 집필하였다. 본고에서 그러한 편찬 방식을 다시 확인해 보았다. 이를 통해 원전의 찬자 및 편찬 시기를 유추하고, 나아가 일연의 본 항목의 편찬 의도를 규명하는데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월명사도솔가조에서 사용된 표현이나 용어는 원전의 撰者와 편찬 시기를 유추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삼국유사』에서 본 항목에만 쓰인 유일한 기록은 緣僧, 散花功徳, 作啓, 聲梵, 大僊, 散花歌, 紙錢, 詩頌, 逝妹, 姮娥, 萬徳花 등이다. 반복해 표기한 단어는 4번 쓰인 郷歌와 두 번 나오는 散花歌이며, 일연의 향가에 대한 관심도를 보여준다. 일연은 원전을 인용했어도 부기한 내용도 있다. 일연의 집필로 볼 수 있는 내용은 讚曰 외에 월명사를 지칭할 때, ‘明’이 아닌 ‘師’라고 표현한 부분이다. 또한 散花歌가 아닌 兜率歌임을 주장한 내용도 일연의 집필이라고 생각된다. 이들은 細註에 넣어도 좋을 듯한 내용들이고, 일연이 원전 외에 다른 자료도 참고했음을 보여준다. 원전 인용은 원전의 全載는 아니고 일연이 보완하고 각색한 내용도 있다. 그러나 전재 비율이 좀 더 많았다. 본 항목은 불교 관련 기사이지만, 본문의 용어 중 至德, 至誠, 至聖, 昭假(昭格), 誠明 등 유교적인 표현이 다수 보여 원전 撰者를 유추하는 데 참고할 수 있다.

Ilyeon compiled the Samguk Yusa, reprinted or abbreviated the original text, or wrote it myself. I tried to check it again in this article. Through this, the author of the original data and the time of compilation will be inferred, and furthermore, the foundation will be laid to identify the intention of compilation of this item. The expressions or terms used in the Wolmyeongsa Dosolga item are the basis for inferring the author of the original data and the time of compilation. The records used only in this section of the “Samguk Yusa” are yeonseung[緣僧], sanhwagongdeok(散花功徳), jakgye(作啓), beomseong(聲梵), daeseon(大僊), sanhwa-ga(散花歌), jijeon(紙錢), sisong(詩頌), seomae(逝妹), Hangah(姮娥), mandukhwa(萬徳花). The repeated words are Hyangga(four times redundancy) and sanhwa-ga (two times redundancy), indicating that Ilyeon was interested in Hyangga. Even if Il-yeon quoted the source material, there is a bookkeeping. Apart from 'Chanwal', the contents written by Ilyeon can be noted in the part where it is expressed as 'myung(明)' rather than 'sa(師)' when referring to the Wolmyeongsa. Il-yeon also wrote that the sanhwa-ga should be called dosolga, which is a good expression to put in the footnote, and shows that Ilyeon refers to other materials besides the source material. This article is related to Buddhism, but there are many Confucian expressions such as ‘jideok(至德)’, ‘jiseong(至誠)’, ‘jiseong(至聖)’, ‘sogyeok (昭假)’, etc. These terms can be used to deduce the author of the original material.

Ⅰ. 머리말

Ⅱ. 항목의 구성과 내용

Ⅲ. 일연의 원전 인용과 집필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