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라촌락문서」의 書風

Calligraphy Style of the Census Document of Silla Villages

DOI : 10.35160/sjekh.2022.12.42.415.
  • 33

일본 나라시 동대사 正倉院에 전하는 「新羅村落文書」(新羅帳籍)는 통일신라시대의 보기 드문 필사물로 주목되어 왔다. 이 문서는 1933년 『華嚴經論』의 싸개인 帙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나온 배접지에 필사된 것으로 내용은 ‘西原京’ 즉 지금의 충청북도 청주의 한 촌락과 인근 촌락의 면적·호구·우마·토지·경제 수목의 증감을 조사한 뒤 정리하여 쓴 장부이다. 그동안 「신라촌락문서」의 내용과 작성 시기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이 문서는 인구 등의 수치의 증감을 언급한 곳마다 “三年間中 …”이라 적은 점에서 3년마다 조사했음을 추정할 수 있는데, 문구 중에 지난 사실을 적은 기록에 ‘甲午’와 ‘乙未’라는 간지가 있어 이에 대한 연대 추정이 있었다. 통일신라시대 을미년(695·755·815·875) 가운데 755년(경덕왕 19) 또는 815년(헌덕왕 7)으로 보는 설이 가장 많았고 최근에는 695년(효소왕 4)으로 보는 설도 제기된 바 있다. 「신라촌락문서」는 붓으로 쓴 필사물이므로 碑銘 등의 석문 글자에서 칼로 새김에 따르는 날카로운 점획은 잘 나타나지 않는다. 또 이 문서는 주로 해서체로 썼는데 필사물인 까닭에 흘려 쓴 행서체가 곳곳에 있으며 몇몇 글자는 초서체까지 있다. 아마 이 문서의 필사자는 관아에 소속되어 필사를 전문으로 하던 사람이었을 터인데, 점획이나 짜임·운필에서 숙련된 수준을 보여준다. 또 통일신라시대 真蹟으로서 寫經 외에 고문서는 더욱 희귀하다는 점에서 이 문서에 대한 서예사적 고찰이 필요하다. 미술사에 있어 주요한 목표의 하나는 時代樣式(period style)의 파악이다. 이 양식을 서예사에서는 ‘書風’이라 한다. 이를 위해 가장 중시되는 일차자료는 연대가 확실한 記年作이다. 그다음은 신빙성 있는 근거를 바탕으로 제작 연대를 가늠할 수 있는 추정작이다. 이런 점에서 「신라촌락문서」의 작성 시기는 인문학 여러 분야에서의 중대한 관심사이며 서예사에서도 과연 어느 시기에 편년되어야 하는지에 주목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신라촌락문서」의 서풍은 어떠하고 기존 필적과의 유사성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본 문서의 작성 시기를 가늠해보려고 한다. 이에 본 문서 글씨의 자형·짜임·점획·운필을 살펴보고, 이를 唐 8~9세기 楷書 碑文, 통일신라시대 8~9세기 寫經과 石經 그리고 중국 고대 글씨본인 法書와 비교해보았다. 먼저 당나라 8~9세기 대표적 해서 비문으로 안진경의 752년 <다보탑비>와는 유사성이 있으나 유공권의 841년 <현비탑비>와는 유사성이 적었다. 다음 통일신라 8~9세기 사경·석경 가운데 755년의 <백지묵서화엄경>과는 짜임이나 운필에서 유사성을 보이는데 다만 사경이 구양순류의 예리한 점획이 남아있음에 비해 본 문서는 부드럽고 살집 있는 점획인 점이 좀 달랐다. 그다음 중국 고대 법서로서 756년 이전의 임본으로 추정되는 智永의 <진초천자문> 묵본과는 점획·짜임·운필에 있어 전반적으로 가장 가까웠다. 이런 점에서 본 문서는 구양순류 글씨에 바탕을 둔 것과는 다른 계통으로 <진초천자문>과 같은 왕희지계 고전 법서와 관련된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 문서의 작성 시기는 8세기 중엽에서 멀지 않으며 <진초천자문> 묵본이 756년 이전의 당나라 임본이 맞는다면 본 문서의 작성 시기가 그 이전으로 올라갈 수 있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calligraphy style of the Census Document of Silla Villages 新羅村落文書. For this purpose, it needs to compare with the epitaphs of the 8-9th Tang, Buddhist sutra-inscription & stone-sutra of the 8-9th Unified Silla, and model-calligraphy of the ancient China. Firstly, comparing with the representative epitaphs of the 8-9th Tang, it is apparently similar with the Memorial Stele for Duobao Pagoda 多寶塔碑 written by Yen Zhen-qing 顏眞卿 1n 752, but comparatively it is different with the Memorial Stele for Xuanbi Stupa 玄秘塔碑 written by Liu Gong-quan 柳公權 in 841. From the points this document is possible to be transcribed about 752 and much before 841. In the next, comparing with the 8-9th sutra-inscription and stone-carvings of Buddhist sutras, this document possibly is similar with the Avatamska Sutra Inscription in White Paper 白紙墨書華嚴經 in 755 and is a little bit different in dots and strokes and structure as well. That is, in this document there is relatively remained the style of Ou-yang Xun 歐陽詢, which was very popular from the unification period, as well as there is remained so much fluent brushwork and flesh dots and strokes. Also, in the next comparing with the model-calligraphy of ancient China, this document is very close to the style of Thousand-character Classic in Standard & Glass Script 真草千字文 written by Zhi-yong 智永(late Chen-early Sui). In this paper it is compared with the ink-transcription in Tang period from the private collection in Japan. In character-shapes and brushworks, there are a few different cases, but this documentt is the most nearest case in dots and strokes, brushworks as well. At this point it is possibly to say that this document is related with the style of Thousand-character Classic, which was based on ancient classical style. Through this search, we can find that the Census Document of Silla Villages is different from the Ou-yang Xun’s style, and is close to the other styles after the middle of 8th century. Therefore, the transcribed period of this document does not enter to 9th century. That is, apparent in comparing with the Avatamska Sutra Manuscript in 755 and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in Standard & Glass Scrip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to some degree in flexible brushwork and fleshy strokes, it is possible to hold the written period about or before the middle of 8th century.

Ⅰ. 「신라촌락문서」의 글자꼴과 글씨체

Ⅱ. 「신라촌락문서」와 당나라 顔柳體 碑文

Ⅲ. 「신라촌락문서」와 통일신라시대 寫經·石經

Ⅳ. 「신라촌락문서」와 중국 고대 法書

Ⅴ. 「신라촌락문서」의 서풍과 작성 시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