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세기 전반의 늦은 시점이 되면 5세기 이래의 삼엽투조대금구가 신라 무덤에서 사라지고 새로이 누암리형 대금구가 등장한다. 이 대금구는 신라의 전통적 대금구에 백제적 요소가 더해져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7세기 초가 되면 방형 과판이 출현하고 여러 부품에 문양이 시문된다. 그것은 北周~隋 대금구의 특징인 바, 그것으로부터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다. 7세기 전반의 늦은 시점이 되면 7세기 초 대금구와는 차이가 큰 황룡사형 대금구가 출현한다. 부품의 형태, 착장방식, 문양 구성 및 표현기법 등이 판이하다. 이는 수 대금구와 유사한 면모를 보이지만, 차이 또한 현저하므로 신라인들이 창안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대금구는 신라가 649년 당식 의관제를 전면적으로 수용하는 시점에 이르면 제작이 종료된다. 이후 신라에서는 당식 대금구만 제작된다. 이처럼 6~7세기 신라의 대금구는 여러 차례에 걸쳐 변화하였는데, 그러한 변화에는 주변국 대금구로부터의 영향이 개재된 것으로 보인다. 신라 대금구가 이처럼 다이내믹하게 변천하였음에 비하여 백제의 대금구는 사비천도 후 멸망기까지 큰 변화 없이 하나의 유형만 제작되는 등 신라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After the 5th century, Silla had a culture of attaching metal ornaments to its belt. In the beginning, palmette patterns were expressed, but after the 6th century, this patterns gradually disappeared. Belt ornaments of this period are classified as Nuamri-type, and metal ornaments attached to the belt are heart-shaped. This belt ornaments are created by adding Baekje elements to Silla’s traditional design. This type changes in the early 7th century. The appearance of the part attached to the belt changes to a square shape. It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Northern Dynasties of China and the Sui Dynasty. And in the late stage of 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a new type that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Nuamri-type appears. It was named the Hwangnyongsa-type, and various patterns such as human faces, birds, flowers, and coins are expressed in this belt ornaments. It seems to have been created by Silla craftsmen by accepting the influence of the Sui Dynasty’s belt. In Silla, the Hwangnyongsa-type belt ornaments ends production after 649 AD. At that point, Silla fully introduced the Chinese Tang Dynasty’s official uniform system, and in the process, the Tang-style replaces the Hwangnyongsa-type.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Silla’s belt ornaments changed several times because of their influence from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Baekje, Northern China, Sui and Tang. This point is different from the case of adjacent Baekje. In the case of Baekje, the appearance of belt ornaments did not change for a long time.
Ⅰ. 머리말
Ⅱ. 樓岩里型 帶金具
Ⅲ. 皇龍寺型과 唐式 帶金具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