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자원환경지질 57권 2호.jpg
SCOPUS 학술저널

공급승수를 이용한 골재산업의 유발효과 추정 연구

A Study on Induced Effect Estimation of Aggregate and Stone Sector with Ritz-Spaulding Multipliers

DOI : 10.9719/EEG.2024.57.2.129
  • 17

본 연구는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생산-생산 승수를 도출하고 비금속광물 부문과 콘크리트 제품 부문을 통해 골재의 유발 효과를 추정하였다. 유발효과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골재의 유발효과를 도출함에 있어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는 것은 부문분류 문제로 인해 어려움이 있는데, 본 연구는 골재를 포함한 비금속광물 부문을 골재로 간주한 분석과 골재생산의 대부분을 수요하는 콘크리트 제품 부문을 분석함으로써 부문분류 제약으로 인한 난점을 완화하고자 하였다. 산업연관효과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골재의 생산감소 상황을 전제해 진행하였으며, 콘크리트 제품 부문을 분석하는 과정에서는 골재 생산감소로 인한 콘크리트 제품 생산감소의 효과, 즉 골재 1단위 생산감소는 콘크리트 제품 부문 0.8511단위의 생산감소를 전제로 분석하였다. 지역산업연관표가 구분하고 있는 17개 광역시도에 대해 자기 지역 내 및 지역간 유발효과를 산출하였다. 골재 생산감소로 인해 자기지역에서 발생하는 생산감소 효과는 지역별 평균 1.28의 유발효과를 보였으며, 타지역의 골재 생산감소로 인한 생산감소 효과는 지역별 평균 0.10의 유발효과를 보였다. 취업효과도 산출하였는데, 지역별 골재 및 콘크리트 제품 부문의 규모에 따른 차이를 나타낼 수 있도록 10% 생산감소 상황을 전제하여 취업 효과를 산출하였다.

This study derived production-production multipliers using a regional input-output table and estimated the induced effect of aggregates through the non-metallic minerals sector and the concrete products sector. In deriving the induced effect of aggregates, it is difficult to use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 due to the sector classification problem. This study analyzed the non-metallic mineral sector, including aggregates, as aggregates sector, and the concrete products sector, which uses most of the aggregate production. By analyzing this, we attempted to alleviate difficulties caused by sector classification restrictions. In the process of estimating the induced effect, it was assumed that there was a decrease in aggregate production, an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concrete products sector, the effect of the decrease in concrete product production due to the decrease in aggregate production, that is, the decrease in production of one unit of aggregate was 0.8511 in the concrete product sector.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remise of a decrease in unit production. Inducing effects within and between regions were calculated for the 17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classified by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 The employment effect was also calculated, assuming a 10% production decrease to show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ggregate and concrete product sectors in each region.

1. 서 론

2. 산업연관표와 골재 개요

3.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유발효과 분석 모형

4. 산업연관분석 및 결과

5. 결 론

사 사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