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임진강 유역 점유 세력의 변천

Changes in the Occupation Power of theImjin River Basin: Focusing on the Changes in RelationsBetween Baekje and Goguryeo

DOI : 10.35160/sjekh.2022.08.41.5

임진강은 한반도의 가운데를 동북-서남 방향으로 貫流하는 강으로서 추가령구조곡의 방향성과 궤를 같이한다. 고대로부터 추가령구조곡은 한반도 동북-서남 지역을 연결해주는 교통로로 활용되었는데, 삼국시대에는 이 노선을 따라 남하한 말갈이 한반도 중부 곳곳에서 백제를 공격하였다. 한편, 임진강 유역은 백제의 북방을 이루며 한강, 예성강과 만나 바다로 통하는 뱃길을 제공하였으며, 반대로 고구려의 남진 과정에서는 남부전선의 후방이자 對백제·신라 방어선으로서 기능하였다. 서울-경기지역은 물론 충청도와 강원도 일대까지 광범위한 범위에서 확인되는 적석총 및 중도문화를 증명해주는 각종 고고 자료는 임진강 유역과 백제의 성장 배경에 대해 잘 보여주고 있다. 한편, 3~4세기 낙랑·대방 2군이 고구려, 백제의 국력 팽창과 맞물려 쇠퇴일로를 걷게 되면서 임진강 유역은 양국의 완충지대가 아닌 양국의 힘이 충돌하는 격전지로 변모하게 된다. 현재 임진강 유역에는 지역 거점으로 운영되었다고 볼만한 고구려 성곽을 비롯해 다수의 보루를 확인할 수 있는데, 관방유적 인근에서 조사된 생활·생산유적과 분묘유적을 통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영역 확보가 이루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광개토왕비>의 영락 6년조(396)는 임진강 유역을 사이에 두고 대립했던 백제·고구려의 관계가 어떠했는지를 알려주는 기록이며, 이를 기점으로 이 지역의 주도권이 백제에서 고구려로 넘어가는 과정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하겠다.

The Imjin River is crosses the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northeast to southwest, so it is in line with the direction of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Since ancient times,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has been used as a transportation route connecting the northeastern and southwest Korean Peninsula, the Three Kingdoms Period, Malgal southward along this route attacked Baekje throughout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the Imjin River basin formed the northern part of Baekje and met with the Han River and the Yesŏng River to provide a route to the sea. In the process of Goguryeo's advance to the south, it functioned as the rear of the southern front and the defense line of Baekje and Silla. Archaeological data that prove the stone mound and Jung-do archeological culture, which are widely identified not only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but also in Chungcheong-do Province and Gangwon-do Province, show the background of the Imjin River basin and Baekje. On the other hand, as the 3rd and 4th centuries of Nakrang and Daebang walked on a decline in line with the expansion of the national power of Goguryeo and Baekje, and the Imjin River basin was transformed into a fierce battlefield where the forces of the two countries collide. Currently, in the Imjin River basin, a number of fortresses, including Goguryeo fortresses that can be considered to have been operated as regional bases, can be seen, and it can be assumed that stable areas have been secured in the long term through living and production relics and tomb relics investigated near the official residence. In particular, Stele of King Gwanggaeto in record of Yeongrack 6th(396) is a record of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Goguryeo, which were opposed between the Imjin River basin, clearly shows the process of the transfer of leadership from Baekje to Goguryeo.

Ⅰ. 서론

Ⅱ. 임진강 유역과 백제의 성장

Ⅲ. 임진강 유역의 고구려 유적

Ⅳ. 임진강 유역을 둘러싼 시대적 상황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