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성장과 발전은 마한 소국 세력의 복속과 통합을 통해 이루어졌다. 따라서 그 과정은 일시에 이뤄질 수 없는 것이다. 『삼국사기』의 기록에는 온조왕 시기에 마한의 복속이 완료된 것처럼 서술되었다. 하지만 관련 기록들은 마한 소국 세력이 백제가 팽창하는 1~4세기의 기간에도 곳곳에 나타나는 것을 보여준다. 고고학적인 성과와 결합하여 전북 지역을 살펴보면, 건마국(익산), 비리국(군산), 벽비리국(김제), 모로비리국(고창), 구소국(정읍) 등의 마한 소국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완주 지역은 기원전 2세기~기원 전후 시기의 대규모 취락 유적이 형성되었다. 또 3세기 중반~4세기 중반에는 다량의 철기류도 출토되었다. 이를 통해 상운리와 주변 일대가 마한 소국의 일원으로 성장하였다고 추정된다. 그리고 4세기 중후반에는 상운리에서 마한계의 전통과 백제계 유물이 함께 출토되어 완주(전주) 일대가 백제의 영향력 아래 들어갔음을 알 수 있다. 5세기 말 웅진 천도한 이후에는 백제가 만경강과 금강 일대 등을 적극적으로 편입하여 지방 지배 체제를 갖추었고, 이어 사비 시기에는 중방 고사성(정읍)처럼 전북 지역이 지방 통치의 핵심으로 변화하였다. 이 시기에 익산, 김제, 완주 일대의 만경강 중·상류 지역의 고고학적 유적 또한 완전히 백제화되어 가는 양상이 나타난다. 이런 관점에서 완주 상운리의 고분군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문헌 기록이 남지 않은 완주·전주권 뿐만 아니라 만경강 중~상류 일대 및 전북 지역의 마한 세력이 어떻게 존재하였는지를 가늠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것은 백제의 전북 지역 진출이 어떠한 과정을 거쳤는지를 밝히는데도 주요한 역할을 한다.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Baekje was achieved through subjugation and integration of the small Mahan state. Therefore, the process of subordination cannot be carried out all at once. In the records of the Samguk Sagi, it is described as if Mahan’s subjugation was completed during the reign of King Onjo. However, related records show that the small state of Mahan appeared in various places during the period of Baekje's expansion from the 1st to 4th centuries. If we look at the Jeonbuk region in combination with the archaeological achievements, we can see that there were small Mahan countries such as Geonma-guk(Iksan), Biri-guk(Gunsan), Byeokbi-ri-guk (Gimje), Morobiri-guk(Gochang), and Guso-guk(Jeongeup). In the Wanju area, large-scale settlement remains were formed between the 2nd century BC and the 1st century AD. Also, from the middle of the 3rd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a lot of iron tools were also excavated. Through this, it is presumed that Sangun-ri and the surrounding area have grown into a member of the Mahan small country. And in the mid to late 4th century, relics of Baekje were excavated along with the traditions of Mahan in Sangun-ri, indicating that Wanju (Jeonju) was under the influence of Baekje. After moving the capital to Ungjin at the end of the 5th century, Baekje actively incorporated the Mangyeonggang and Geumgang areas to establish a local governance system. Then, during the Sabi period, the Jeollabuk-do region, like Gosaseong(Jeong-eup) in Jungbang, was transformed into the core of the local administrative division. During this period, the archaeological remains of the upper and middle Mangyeonggang areas around Iksan, Gimje, and Wanju also appear to be completely Baekje-styl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ancient tombs in Sangun-ri, Wanju have important meaning. This is because it allows us to estimate how the Mahan forces existed in the middle and upper reaches of the Mangyeonggang and Jeollabuk-do as well as in the Wanju and Jeonju regions where there are no documentary records. And it plays a major role in revealing the process of Baekje's advance into the Jeollabuk-do region.
Ⅰ. 머리말
Ⅱ. 1~4세기 백제와 마한의 관계
Ⅲ. ‘전북 지역’ 마한 세력의 상황
Ⅳ. 백제의 ‘諸韓’ 평정과 완주 지역
Ⅴ. 웅진 천도 이후 전북 마한의 흔적
Ⅵ.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