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라의 한자 전래·수용과정과 표기 양상

Silla's Transmission and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Aspects of Writing in Silla Society

이 글에서는 신라의 한자 전래와 수용과정을 통하여 신라 사회가 어떻게 변화·발전하였는지를 역추적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한자가 신라 사회에 어떠한 경로로 전래하였는지, 또 전래한 한자가 신라인에게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검토하고, 이어서 신라 사회에서 한자가 어떤 형태로 표기되었는지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신라는 대외 통교를 중심으로 한자가 전래·수용되었는데, 그 과정을살펴보면 첫째 신라 초기에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이주민의 상황, 둘째 고구려와의통교를 중심으로 대고구려 외교를 통한 전래과정, 셋째 백제를 통한 대중국 외교의정황과 중국의 남북조 국가와의 통교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신라로 전래한 한자가 신라 사회에서 실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살펴보았다. 첫째 삼국사기 지리지의 ‘高句麗故地’라는 신라 영토의 일부 지명, 둘째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定京都坊里名’과 삼국유사 紀異의 ‘35金入宅’의명칭, 셋째 6세기 전후 신라인들이 작성한 금석문에 보이는 ‘喙’ 자와 사서의 ‘啄’ 자 등을 통해서 한자 사용의 실례를 확인하였다. 이로써, 신라는 주변국과의 대외 통교를 통하여 한자가 전래할 수 있었으며, 한자의 수용을 통하여 체계적인 기록과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사회로 발전할 수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후 신라 사회는 점차 독자적인 신라인의 한자 문화를창출해가는 모습의 일면을 규명해 볼 수 있었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trace back how Silla society changed and developed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s. First, we examined how Chinese characters were transmitted to Silla society and how they were received by Silla, and then examined the aspects of how Chinese characters were written in Silla society. As a result, Chinese characters were transmitted and accepted mainly through external communication in Silla. Looking at the process, first, the situation of immigrants from China in the early period of Silla, second, the transmission process through diplomacy with Goguryeo centered on communication with Goguryeo. Third, it could be divided into the situation of diplomacy with China through Baekje and China's communication with Nan Pei ch'ao shih tai(南北朝時代). Next, we looked at how Chinese characters that were introduced to Silla were actually used in Silla society. First, the designation of a part of the Silla territory called 'Old territory of Goguryeo(高句麗故地)' in Jiriji(地理志) in Samguksagi(三國史記), secondly, 'Naming the capital(定京都坊里名)' in the Sillabongi(新羅本紀) of Samguksagi(三國史記), and '35 Luxuryhouse(金入宅)' in the Gii(紀異篇) of Samgukyusa(三國遺事), Third,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reality of the letter '喙' and the letter '啄' in the librarians, as seen in the inscription carved in stone written by the Silla Dynasty around the 6th century. Through this, Silla was able to transmit Chinese characters through external communica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through the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s,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velop into a society where systematic records and efficient management were possible. Since then, it has been possible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Silla society gradually creating its own Chinese character culture.

Ⅰ. 머리말

Ⅱ. 대외 通交와 한자의 전래

Ⅲ. 한자 수용과 신라인의 표기 양상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