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삼국시대 鐵鏡의 수용과 교류 양상

The Acceptance and Exchange of Iron Mirror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 12

동북아지역 철경은 기원후 1세기에서 6세기까지 각국 지배자의 상징성을 나타내는 위세품의 하나로 유행하였던 새로운 물질문화에 속한다. 하지만 재료의 특성상 부식으로 인해 원형을 파악하기 어려워 학계에서는 오랜 역사에 비해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고대 동북아지역 철경의 원형을 찾아세부적인 전개양상을 검토하였다. 먼저 출토자료가 가장 많은 황하와 화북지역을 중심으로 철경의 제작배경과전개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문양구성이나 장식기법 등 제작기술적인 측면에서 패용자의 신분에 따른 차이가 있어 당시의 정치적·기술적인 상황을 파악할수 있다. 실제로 비중원계통의 금은착 기법이 가미되는 등 매우 다양한 공예기술이사용되었다. 다음으로 중국 삼국시대의 혼란 속에서 지역과 시기에 따라 다양한형식이 확인되어 이에 대한 각 단계의 철경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한반도 출토 철경을 검토하는 데 주목한 것은 중국과 인접한 고구려와 달리, 한반도 중부 이남의 신라와 백제 철경의 수용양상은 다르다는 점이다. 먼저 고구려는 후한 또는 북연 계통의 철경이 3세기 무렵 집안지역에서 확인되어 조공관계의사여품으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신라와 백제의 수용양상은 약간 다른데 4세기 중엽부터 고구려와의 정치적 역학관계로 알 수 있듯이 고구려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이해된다. 반면 백제는 동진과 교류를 통해 선진문물과 제도를 수입하여국력을 성장시켰으며 그 과정에서 동진을 통해 철경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대체로 4세기 후엽 처음 등장하는데 당시 철이라는 첨단 소재를 이용하여 나름대로 상징적인 표식물로 제작하게 되었다.

Iron mirrors in Northeast Asia belong to a new material culture that was popular as one of the Prestige goods representing the symbolism of rulers in each country from the 1st to 6th centuries AD.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original form due to corrosion, so i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academia compared to its long histor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detailed development patterns by finding the prototype of the ancient Northeast Asian region's iron scriptures. First, we will look at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iron landscape, focusing on the Yellow River and North China area, which have the most excavated data, and then we can understand the political and technical situation of the time as there are differences in manufacturing technology such as pattern composition and decorative techniques. In fact, a wide variety of craft techniques were used, such as the addition of the Inlaid with gold and silver technique of the Non-Chinese Dynamic Area system. Next, amid the turmoil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China, various form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region and period, So I will analyze the iron mirrors pattern of each stage in this paper. What I paid attention to in reviewing the iron mirrors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is that unlike Koguryeo, which is adjacent to China, Silla in the south of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ccepts the iron mirrors of Baekje. First of all, in the case of Koguryeo, the iron mirrors of Later Han or Northern Yan lineage was confirmed in the Jian area around the 3rd century, and it seems that the iron mirrors was introduced into Koguryeo as a Imperial Gifts of Tributary Relations for Koguryeo. Meanwhile, the acceptance patterns of Silla and Baekje are slightly different. When looking at Silla’s political dynamics with Koguryeo from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I understand that iron mirrors came into Silla through Koguryeo. On the other hand, I think Baekje was grown its national power by importing advanced cultures and institutions through exchanges with Eastern Chin. In the process, I can understand that Baekje received iron mirrors through Eastern Chin. In general, iron mirrors first appeared in the late 4th century in the Three Kingdom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Three Kingdoms made their own symbolic markers using high-tech material called iron at the time.

Ⅰ. 머리말

Ⅱ. 철경의 기원과 전개

Ⅲ. 한반도 출토현황

Ⅳ. 수용양상과 계통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