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대 서남해 항로에 대한 고찰

A Study on Ancient Route to the Southwestern Sea: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DOI : 10.35160/sjekh.2021.12.39.9
  • 33

본고에서는 3~9세기 한반도 서남해에서 일본열도로 이어지는 항로에 대해 문헌 사료의 면밀한 검토를 통해 종합적으로 고찰해보았다. 전반적으로 고대 시기에는 서남해 연안에서 쓰시마로 넘어가는 동안 視認距離 항로를 통해 이동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통상적으로 운용되었던 항로를 요약해보면 안마도-하의도-진도, 거차군도-남해도-비진도, 거제도-쓰시마로 이어지는 해역이었다. 기존에는 전남 지역에서 직접 쓰시마를 거쳐 九州로 연결되는 항로나 五島列島를 통해 熊本 등 有明海 지역으로 연결되는 항로를 이용하였던 것으로 추정한 견해가 있었지만, 이 루트는 해류의 존재도 확인하기 어렵고 바람이 적당치 못해서 백제의 공식적인 항로로 쓰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서남해의 한일항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서남해 다도해의 해상 교통의 요충지로 하의도 일원을 상정할 수 있었으며 남해안에 있어서 해상 교통의 요충지로는 남해도와 고성 일원을 상정할 수 있었다. 결국 이러한 항로의 검토는 종국적으로 백제 시대의 한일 교역 루트를 복원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백제에서 왜로 이어지는 서남해안 항로는 서해안-영산강 유역-전남 해안-경남 해안을 잇는 항로를 통해 일본열도로 건너가는 루트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백제와 왜가 지속적으로 교류할 수 있었던 기반은 백제가 영산강 유역과 가야 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남부를 영향력 하에 두었을 때에 가능한 일이었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route leading to the Japanese archipelago through the south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3rd and 9th centuries.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by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during the ancient period, it was traveled through a route that was moved by looking at it with the eyes while crossing from the southwest coast to Tsushima. In other words, summarizing the commonly operated routes, it was a sea area leading to Anma Island-Hauido Island-Jindo Island, Geochagundo Island-Namhaedo Island-Bijindo Island, Geoje Island-Tushima Island. Previously, there was an opinion that the route from Jeollanam-Province directly through Tsushima to Kyushu or the route through the Goto Islands to the Ariake Sea area was used, but this route does not seem to have been used as an official route of Baekje due to its difficulty in confirming the existence of ocean currents and inadequate win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Korea-Japan route, the area of Hauido Island could be assumed as an important point of maritime transportation in the southwest sea, and the area of Namhaedo Island and Goseong could be assumed as important points of maritime transportation on the south coast. In the end, the review of these routes can be said to be the process of ultimately restoring the Korea-Japan trade route of the Baekje period. The southwest coast route from Baekje to Japan shows a route across the Japanese archipelago through a route connecting the west coast- Yeongsangang River basin-Jeollanam-Province coast-Gyeongsangnam-Province coast. The basis for the continuous exchange between Baekje and Japan was possible when Baekje placed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and the Gaya area, under influence.

Ⅰ. 머리말

Ⅱ. 3~6세기 서남해 항로

Ⅲ. 7세기 서남해 항로

Ⅳ. 8~9세기 서남해 항로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