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지역은 불교가 전래된 이후 꾸준히 사찰 건립과 그에 따른 석탑 건립이 이뤄져 왔다. 백제석탑을 제외하면 통일신라 말부터 본격적인 석탑이 건립되었는데, 고려시대에 들어서면서 충남 전역에 석탑이 건립되어 충남지역 석탑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이후 조선시대에도 소량이지만 지속적으로 석탑 건립이 확인된다. 그러나 그동안 충남지역을 하나의 문화권으로 파악하여 이 지역 석탑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적은 없다. 본 논문은 충남지역에 건립된 통일신라~고려시대 석탑의 현황과 양식 분석을 바탕으로 충남지역 석탑이 갖는 특징과 미술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지정된 석탑을 중심으로 72기의 석탑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차령산맥을 기준으로 충남지역을 북부와 남부로 구분하여 분포 현황을 살펴본 결과 북부지역에 33기, 남부지역에 39기의 석탑이 확인되었다. 남부지역은 부여와 공주에 집중 건립되어 있어 이 일대가 꾸준히 불교문화 중심지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북부지역은 예산 가야사와 수덕사, 서산 개심사, 당진 안국사 등 이른바 내포문화권으로 불리는 지역에 석탑이 집중 분포하고 있는데, 일찍부터 불교가 전래되어 불교미술이 성행하던 지역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충남지역 통일신라~고려석탑이 갖는 미술사적 의의에 대해 첫째, 고려시대에는 특정한 시기에 석탑이 집중 건립되기보다 전 시기에 걸쳐 꾸준히 석탑이 건립되었으며, 충남 남부지역은 일반적으로 차령 이남 지역으로서 정치·문화적 차별이 있었던 것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 지역에 가장 많은 석탑이 남아 있는 점, 둘째, 고려식 석탑, 백제계 석탑, 신라계 석탑, 특수형 석탑 등 다양한 양식의 석탑이 건립되었다는 점, 셋째, 통일신라 석탑인 성주사지 석탑이 주변 지역 고려석탑에 양식적 영향을 주었다는 점, 넷째, 건립시기와 발원 계층이 명확한 석탑들이 확인된다는 점, 다섯째, 정림사지 오층석탑을 모방한 백제계 석탑이 옛 후백제 지역을 중심으로 건립되었다는 점, 여섯째, 보협인석탑의 형태가 다른 일반형 석탑 상륜부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the Chungnam region, temples and stone pagodas have been steadily built. However, there has never been any research on stone pagodas in this area by identifying the Chungnam region as a single cultural area.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tatus and style of stone pagodas from the Unified Silla to Goryeo period built in the Chungnam region,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art historical significance of stone pagodas in the Chungnam reg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stribution status of stone pagodas by dividing the Chungnam region into northern and southern regions based on the Charyeong Mountain Range, 33 were identified in the northern region and 39 in the southern region. The art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stone pagodas in the Chungnam region is as follows. First, during the Goryeo Dynasty, stone pagodas were steadily erected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rather than intensively erected during a specific period. Among the southern regions of South Chungcheong Province, south of the Charyeong Mountains was known to have suffered discrimination, but in fact, the largest number of stone pagodas were built. Second, various types of stone pagodas were erected, such as Goryeo-style stone pagodas, Baekje-style stone pagodas, Silla-style stone pagodas, and special-type stone pagodas. Third, the stone pagoda of Seongjusa Temple site, the stone pagoda of Unified Silla, had a stylistic influence on the Goryeo stone pagoda in the surrounding area. Fourth, stone pagodas with clear construction times and origins are identified. Fifth, Baekje stone pagodas imitating the five-story stone pagoda at Jeongnimsa Temple site were built around the old Baekje area.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shape of the Bohyupin Stone Pagoda had an effect on the upper ring of other general-type stone pagodas.
Ⅰ. 머리말
Ⅱ. 건립 현황
Ⅲ. 양식 특징
Ⅳ. 미술사적 의의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