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광개토왕릉비」와 삼국사기를 검토하면서 고구려·백제의 접경변화에 따라 광개토왕이 水軍을 동원·운용하여 백제를 공략하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4세기 후반 고구려와 백제는 멸악산맥을 중심으로 접경을 형성하였고 예성강 중하류 일대를 둘러싼 공방전을 펼쳤다. 그런데 백제가 멸악산맥과 마식령산맥을 따라관방시설을 구축하면서 고구려는 백제 공략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392년 백제 공략에 나선 광개토왕은 백제의 관방시설을 무너뜨려야 함을 절감하였는데, 백제의 관방시설을 무너뜨리기 위한 전술로 전방으로는 육군을 동원하여 공격하되 한편으로는 해주만 연안에 수군을 신속·은밀하게 상륙시켜 후방을 기습 공격하는 수륙양면작전을 구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관방시설을 무너뜨린 후에는 해주만 일대에수군 거점을 마련하면서 關彌城 전투에 수군을 투입하여 승리를 거두었다. 백제가 계속해서 영토 수복을 시도하자 광개토왕은 396년에 다시 대대적인 백제 공략에 나섰다. 기존에는 능비 永樂 6년조의 “王躬率□軍”에서 “□”를 “水”자로 판독하면서 ‘396년에 광개토왕이 직접 수군을 거느리고 백제 도성을 함락하였다’고 많이 이해하여 왔다. 하지만 능비의 원석 탁본을 보면 “水”자로 판독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재고의 여지가 있다. 다만 수군 지원 시 한강 도하가 용이하다는점 그리고 392년 백제 공략 때의 수군 동원 사례를 감안하면 수군 편성은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광개토왕의 백제 공략 당시 수군은 백제의 관방시설을 무너뜨리고 관미성을 함락하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육군의 한강 도하를 지원하고 경기만을 장악하여서해 연안 일대를 점령함으로써 고구려군의 안정적인 백제 도성 진입과 남진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수군의 활약 속에 광개토왕은 아신왕의 충성 맹세를 받고 58성과 700촌을 차지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I would try to reconstruct King Gwanggaeto’s navaloperation, utilizing Monument of King Gwanggaeto and Samguksagi asprimary sources. His naval operation aimed at attacking Baekje, after thechanges of contact zones between both kingdoms. When King Gwanggaeto attempted to attack Baekje in A.D. 392, he wasgoing to destroy Baekje’s defense installations built along the MyeorakMountains and Masikryong Mountains, the contact zones between twonations at the time, and it is assumed that he carried out the amphibiousoperation mobilizing the army for combat in the front of the defenseinstallations and quickly and sneakingly putting naval forces in the vicinityof Haeju Bay, making a surprise attack on the rear of the defenseinstallations. And, it is also assumed that he carried out other navaloperations like utilizing naval forces for the Gwanmi Castle Battle whilesetting up a naval base in Haeju Bay. King Gwanggaeto again attempted to attack Baekje in A.D. 396, and,in his existing Mo nument o f King Gwanggaeto , ‘□’ was read as ‘水’ in ‘王躬率□軍’ of the 6th year of Youngrak, which has been widely understood that he personally led the naval forces and took the capital city of Baekjein A.D. 396. However, the above-mentioned orthodoxy needs to bereconsidered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ad it as ‘水’ in the original rubbingof the Monument of King Gwanggaeto. But, considering the fact that itbecomes easier to cross the Han River with the naval forces deployed, andthe fact that the naval forces were actually mobilized to attack Baekje inA.D. 392, it is believed that the naval forces were also mobilized along withthe army. When King Gwanggaeto attacked Baekje in A.D. 392-396, the navalforces contributed to destroying Baekje’s defense installations in the contactzones of both nations and taking its Gwanmi Castle. In addition, the navalforces not only took control of Kyunggi Bay, but also took the coast of thearea, which laid the groundwork for Goguryeo’s southward march in a stableway, allowing the Goguryeo army to enter Baekje’s capital city. KingGwanggaeto succeeded to have King Asin’s surrender, so that he couldoccupy 58 castles and 700 villages due to the naval forces’ great performances.
Ⅰ. 머리말
Ⅱ. 廣開土王代의 水軍 편성과 활동
Ⅲ. 高句麗・百濟의 接境 상황과 廣開土王의 水軍 운용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