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後三國時代의 水軍 운용과 주요 水戰 및 水路 활용 검토

Study on Naval Force Management, Major Naval Battles and Watercourse in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DOI : 10.35160/sjekh.2021.08.38.211

후삼국시대 泰封과 後百濟, 高麗는 모두 制海權을 중시하였으며, 각지에서 水軍을 활용한 水戰이 일어났다. 후삼국시대의 수군은 수상전 수행, 병력 이송, 사신선 나포, 해상 기습, 군량 수송 등으로 운용되었다. 西南海 일대는 서해와 남해가 교차하는 지점이므로 수상전의 주요 무대였다. 서남해의 지리적 이점 때문에 후백제는 이곳을 領有하고자 했으나, 錦城의 호족들은 후백제와 대립하며 독립적인 성향을 보였다. 901년의 전투로 금성의 호족들은後高句麗에게 손을 내밀게 되었으며, 903년에 王建이 금성 일대를 차지하고 羅州로 명칭을 변경하게 되었다. 909년에 제1차 德眞浦海戰에서는 왕건의 摩震軍이 皐夷島를 공략하고 榮山內海로 들어가 火攻으로 승리하였다. 이후 押海島의 能昌을 제압하였는데, 선후관계로 보아 능창은 본래 마진을 도와주는 입장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912년에는 후백제의 甄萱과 태봉의 弓裔가 덕진포에서 직접 싸웠으며, 결국 나주는 태봉과 고려의 영역으로 남게 되었다. 그렇지만 929년에 후백제는 나주 지역을 확보하였으며,932년에는 후백제가 禮成江 기습으로 고려의 나주 원정 선단을 붕괴시킨 것으로추정된다. 그렇지만 935년에 庚黔弼이 나주를 다시 회복하게 되었다. 한편 陸戰에서도 水路가 다양하게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901년 大耶城전투 때부터 洛東江 수로와 南海岸 수로를 이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후삼국시대의 대표적인 전투였던 公山 전투, 古昌 전투, 一利川 전투 역시 낙동강과 연관된다. 낙동강 수로의 이용은 군대와 군량의 이송은 물론 進軍路와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사항들을 통하여 후삼국시대에는 수군과 수로의 활용이 다양하게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During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Taebong (泰封), Later Baekje(後百濟), and Goryeo (高麗) all regarded the command of the sea asimportant. Therefore, battles took place in use of naval forces in variousplaces. The naval forces of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were operatedfor surface warfare, transfer of troops, capture of envoys, surprise raids onthe sea, and transport of military supplies. The Southwest sea area was the main stage for the naval battles as itis the point where the West and South Seas intersect. Because of thegeographical advantage of this area, Later Baekje longed for it. However,the local gentry (豪族) of Geumseong (錦城) standed opposed to LaterBaekje and showed an independent tendency. After the battle in 901, theyreached out to Later Goguryeo (後高句麗). Then, Wanggeon (王建) occupiedthe area and changed the name to Naju (羅州) in 903. In the First Battle of Deokjinpo (德眞浦) in 909, Wanggeon's army ofMajin (摩震) attacked Goi Island (皐夷島). The army entered the YeongsanInland Sea (榮山內海) and won the battle by attacking with fire. Afterwards,Neungchang (能昌) of Abhae Island (押海島) was captured, but it was possible that he was originally in a position to help Majin. In 912, Jinhwon(甄萱) of Later Baekje and Gungye (弓裔) of Taebong had a battle atDeokjinpo. In the end, Naju remained in the domain of Taebong and Goryeo(高麗). However, Later Baekje secured the Naju area in 929 and it seemsthat Later Baekje destroyed Goryeo’s expeditionary fleet by a surprise attackon the Yeseong River (禮成江) in 932. However, Yugeompil (庚黔弼)regained the area in 935. Meanwhile, it appears that the watercourse was used in various ways inland battles. From the Battle of Daeyaseong (大耶城) in 901, the militarymarch have been made along the waterway of Nakdong River and theSouthern coast. The Battle of Gongsan (公山), Battle of Gochang (古昌),and Battle of Ilricheon (一利川), which were major battles of the LaterThree Kingdoms period, are also related to the Nakdong River. The use ofthe waterway is most likely related to the transport of troops and supplies,as well as the march route. In this regard, it is probable that the use of navalforces and waterways was varied in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Ⅰ. 머리말

Ⅱ. 後三國時代의 水軍 운용

Ⅲ. 後三國時代 주요 水戰 사례 분석

Ⅳ. 陸戰에서의 水路 활용 가능성 검토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