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라 통일기 二節末幢의 창설과 병참 지원

The Foundation of Yijeolmaldang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he Support of Logistics

DOI : 10.35160/sjekh.2021.04.37.253
  • 7

이절말당은 신라 23군호의 하나로서 병참을 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군단 명칭인 ‘節末’에 대한 어의 분석에 더하여 군사적 實在는 중국 삼국시대에서 확인된다. 吳 孫權이 軍糧을 담당하던 군관으로 ‘절도’를 두었는데, 唐에 이르러 병사를지휘하는 節度使로 완성되었다. 절도가 군량을 담당하던 군관에 시원을 둔 것인데, 국가 성립기부터 나당 전쟁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전투를 치렀던 신라에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신라 군사력의 토대로서 병참 조직이나 시스템은 운용되고 있었다. 사료에 보이는 輸를 비롯한 보급, 수송을 뜻하는 용어들은 輜重의 사례로서 당시 신라군의병참 운용을 잘 보여준다. 특히 기병, 보병, 軍馬, 馬草 등의 관리는 체계적인 병참의 가능성을 짐작케 한다. 김춘추의 대당사행과 당제도입은 새로운 지배질서의 정립으로서 군사분야에변화를 촉진시켰다. 병참 역시 그에 해당했는데, 당에서 숙위하던 병부 소속의 대감은 신라의 군제정비에 있어 긴요한 역할을 하였다. 여·제 정복 과정에서 나당연합군의 효율적 운용은 중요한 사항이었으므로 당군에 대응되는 신라군의 작전과 군단운용에 정비가 이루어졌다. 대규모의 전쟁에 소요되는 병력이나 물자의 효율적 보급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이절말당이 창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여·제 정복이 끝나고 나당 전쟁이 시작되면서 병참군단에 다시 변화가이어졌다. 한강 유역의 서부 전선과 강원 지역의 동부 전선으로 전역이 확대되면서신라군은 보다 효율적인 병참 운용이 요구되었다. 二罽幢과 二弓의 사례처럼 이절말당은 한산주절말과 우수주(하서주)절말로 분립되었다. 자녹의 금색이 한산주, 녹자의 금색이 우수주(하서주)에 각기 설치되어 전문적인 병참군단으로서의 기능을수행하며 신라군의 승리에 근본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Yijeolmaldang(二節末幢) is believed to have served as a member of the 23 legions of Silla. Military reality is confirm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China. In Wu(吳) Country, Jeoldo(節度) were appointed as military officers who were in charge of military service, and it was completed as a Jeoldosa(節度使) officer in charge of soldiers during the Tang Dynasty. It appears to have been introduced to Silla, where numerous battles were fought from the founding of the state to the Silla-Tang War(羅唐戰爭). Kim Chun-chu's visit to Tang and the introduction of the Tang’s system facilitated a change in the military sector by establishing a new ruling orde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Na-tang Allied Forces(羅唐聯合軍) was an important matter, so Silla army operations and corps operations were maintained in response to the Tang army. In the process, it is estimated that Yijeolmaldang(二節末幢) was created. As Silla-Tang War(羅唐戰爭) began, changes continued to be made to the corps in charge of military affairs. As the war expanded to the western front of the Han River basin and the eastern front of the Gangwon area, Silla demanded more efficient supply of the area. Yijeolmaldang(二節末幢) was divided into Hansanjujeolmal and Usuju(Haseoju)jeolmal. It played a fundamental role in Silla's victory, performing its role as a professional military unit.

Ⅰ. 머리말

Ⅱ. 군단 명칭의 분석과 節末 용례의 확인

Ⅲ. 군단 기능의 분화와 병참 조직의 전문화

Ⅳ. 나당 전쟁의 전개와 이절말당의 분립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