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통일신라시대 수창군 치소의 위치 검토

A Study on the Location of Suchang-gun Office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DOI : 10.35160/sjekh.2021.04.37.321
  • 16

신라 신문왕의 달구벌천도(689년)가 무산된 이후, 설치된 위화현은 이후 대구지역 내 4개현을 領縣으로 거느린 수창군(757년)이 설치되면서 대구지역에 대한신라의 지방지배가 더욱 공고해진다고 여겨진다. 수창군의 치소 주변 일대에서 토성과 같은 성곽의 존재와 삼국시대 주요세력의 존재를 알려주는 대형 고분군이 확인되지 않는 점은 수창군의 성격이 행정지배를 위해서 존재한 지방치소임을 알려준다. 이는 성곽을 중심으로 존재한 기존의 군현들과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수창군의 설치는 기존지역이 아니라 신라 중앙정부에서 새롭게 개척한 지방행정 거점이었음을 알려준다. 대구광역시 수성구 일대에 존재한 통일신라시대 유적을 검토해 본 바, 신천 동안의 수성구 상동, 중동 일대가 수창군의 치소로 판단된다. 각 유적에 대한 분석을통해 보면, 현지 지형을 따라서 도로망을 갖추고 일정하게 공간을 구획한 후, 관청이나 사찰 그리고 창고와 생산시설 등을 두고 주변에 수창군과 관계된 관인들이거주한 모습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최치원의 『수창군호국성팔각등루기』에 등장하는 호국성은 평야지대에 위치하기 보다는 배후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되며, 팔각등루가 설치된 남령은 기존의 추정과 달리 수성구 중동, 상동유적이 위치한 들 남쪽의 법이산봉수가 위치한구릉 일대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그동안 발굴조사된 유적 양상을 통해 볼 때, 달구벌천도의 대상지가 달구벌 세력의 중심지인 달성 주변이 아니라 신천 東岸의 수성구 상동, 중동, 수성동(일제강점기에는 下洞)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Wihwa-hyeon was established after King Sinmun’s plan to transfer the capital to Dalgubeol (689) failed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Later, Suchang-gun (757) with four affiliated prefectures (領縣) in the Daegu region was established and this is deemed to have stabilized Silla’s control of the Daegu region. The fact that no fortress structure, such as earthen rampant, was found around the governing office of Suchang-gun and no large-scale ancient tombs, evidencing the existence of major power during the Three States Period, indicates that Suchang-gun was a local government office used for administrative rule. This is different from existing counties and prefectures that existed around fortresses and indicates that Suchang-gun was the base for local administration that the central government of Silla, not the existing region, had developed anew.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the sites from the Unified Silla Dynasty throughout Suseong-gu, Daegu, the whole area of Sang-dong and Jung-dong of Suseong-gu in the east bank of Sincheon Stream is determined as the location of the governing office of Suchang-gun. The analysis of each site revealed a road network along the local topography, uniform zoning of the space, the establishments of government building, temple, warehouse, and production facilities, and the remains of residences of officials related with Suchang-gun around them. Also, it is presumed that the Hoguk Fortification in Choi Chi-won’s 『Octagonal Lantern Shaped Pavilion located in Hoguk Fortification in Suchang-gun』 was located in the hinterland than on the plain area and Namryeong, where the Octagonal Lantern Shaped Pavilion was constructed, was located on the hill, where the beacons of Beobisan Mountain are, in the south of the field, where the Jung-dong and Sang-dong sites of Suseong-gu are located, unlike previous estimations. Lastly, the modes of the sites that have been excavated suggested the area chosen for the transfer of capital to Dalgubeol was not around Dalseong, the central area of the powers of Dalgubeol, but around Sang-dong, Jung-dong, and Suseong-dong (Ha-dong (下洞) under Japanese rule) in Suseong-gu.

Ⅰ. 머리말

Ⅱ. 연구사검토

Ⅲ. 대구지역 내 군현과 치소

Ⅳ. 통일신라시대 수성구 관내 생활유적

Ⅴ. 수창군의 성격과 특징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