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하남지역 문화유적에 대한 연구성과 검토와 과제(Ⅰ)

A Review of Research Performance and Tasks on the Cultural Relics in Hanam Area(Ⅰ)

DOI : 10.35160/sjekh.2021.04.37.425
  • 19

하남지역의 문화유적은 1960년대부터 알려져 왔고, 1980년대 미사동 유적과이성산성, 동사지가 조사되기 시작했다. 그동안의 지표조사를 통해서 지정문화재와 유물산포지 등 190개소가 확인되었고, 교산지구 개발과 관련하여 136개소가 개발범위에 위치하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하남지역 고고분야 논저와 학위논문은 모두 159편이 저술되었다. 선사시대 연구성과는 논문이 27편인데 그중 미사동 유적 관련이 20편으로 가장 많다. 역사시대는 논문 90편과 학위논문 9편, 단행본 30편 정도가 간행되었다. 논문 중에는 이성산성 관련된 것이 27편으로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 고분과 미사동 유적을 주제로쓴 것이다. 앞으로의 과제로는 구석기시대의 경우 중~후기 구석기 문화층과 석기류에 대하여 분석 및 고찰이 필요하고, 신석기시대는 전기와 후기에 대한 연구를 주변 지역의 유적·유물과 비교해 볼 필요가 있으며, 토기에 대한 면밀한 분석도 진행되어야 한다. 청동기시대는 미사동 유적과 덕풍동 등에서 다양한 유형의 주거지와 토기가 확인됨에 따라 단선적 전개양상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단편적인 연구보다 학위논문이나 과제형 저서를 통해 탐구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겠다. 역사분야의 경우 이성산성에 대한 논쟁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만큼 풍납과몽촌토성 등의 조사성과와 상관관계를 살펴야 하며, 토기와 기와에 대한 제작기법을 파악해야 한다. 춘궁동토성에 대해서는 고지형분석과 LIDAR를 이용한 측정도실시하여 지형분석을 해 볼 필요가 있다. 고분은 백제 석실묘의 기원과 전개양상을고찰하고, 하남을 거점으로 성장한 귀족세력을 추정해 보아야 하는데 이는 미사동경작지와 관련된다. 고려~조선시대에는 왕족이나 외척세력들이 거주했던 곳이므로이와 관련된 토착 집단에 대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도시유적의 경우 기와집이밀집되어 있다는 점과 한산주와 광주읍치 등의 치소지 문제에 대한 접근도 필요하다. 아울러 앞으로는 논문을 전문학술지에 게재하는 것이 연구자를 비롯한 대중들의 관심을 이끌어 내는데 도움이 될 것이고, 하남학 정립을 위한 저서 간행에도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끝으로 교산지구 신도시 개발부지에 대해서는 관계기관이 주도하여 매장문화재 종합조사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시급하고, 매장유구 분포지도를 조사 전과 후에 작성해 둔다면 여러모로 효용성이 있을 것이다.

The cultural relic survey of the Hanam area has been known since the 1960s. Since the 1980s, the relics in Misa-dong, Yiseong Sanseong Fortress, and Dongsa Temple's site began to be investigated. Through the surface investigation in the past, it was found that cultural assets and relics have been distributed in 190 places in Hanam area.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project of Gyosan District, 279 places were reported to have been located in the scope of the development. A total of 159 theses and dissertations have been published related to cultural relics in Hanam. Twenty-six theses achieved the research performance on the Pre-historic Age, of which 20 were related to the relics in Misa-dong taking the most part. In the Age of Recorded History, about 90 theses, nine dissertations, and 30 books were published. Among the theses, 27 theses were related to Yiseong Sanseong Fortress, followed by ancient tombs and relics in Misa-dong. Future tasks require analysis and consideration of the cultural class and stoneware of the middle and late period of the Paleolithic Age. As for the Neolithic Age, it is required to compare the research on its early and late period with the remains, relics and artifacts of the surrounding area, and a detailed analysis of earthenware should be conducted. As various types of residences and earthenware were identified in Misa-dong and Deokpungdong,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did not show a linear pattern in the Bronze Age. Therefore, it would be more meaningful to explore through dissertations or task-type books rather than fragmentary studies. In the field of history, as there have been controversies over the Yiseong Sanseong Fortress for a long time, it is necessary to correlate the investigation results on such as Pungnap and Mongchon Toseong and to identify the production techniques for earthenware and roof tiles. As for the fortress in Chungung-dong,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topographic analysis through paleotopographic analysis and measurement using LIDAR. To identify the ancient tombs in Hanam area, it needs to investigate the origin and development pattern of Baekje's stone-chamber tombs and suspect the developed aristocratic power based in Hanam, which was related to the farming areas in Misadong.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boriginal groups and their ancient tombs, as it was the place where the royal family and their maternal relatives lived during the periods of the Goryeo Kingdom and Joseon Dynasty. In the case of urban relic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cluster of tile-roofed houses and the sites of government offices (Chiso) such as Hansanju and Gwangju Eupchi. Besides, publishing papers in professional journals will help draw public attention in the future, and continuous investment in publishing books for forming a study on Hanam is also needed. Lastly, it is urgent to establish a master plan for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buried cultural heritage led by relative agenci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towns in Gyosan District, and it will be helpful in many ways if a map of the distribution of buried remains is prepared before and after the investigation.

Ⅰ. 머리말

Ⅱ. 선사시대 연구성과 검토

Ⅲ. 역사시대 연구성과 검토

Ⅳ. 앞으로의 과제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