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리터러시 연구 15권 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AI 리터러시 측정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verification of Measurement tool for AI literacy

DOI : 10.37736/KJLR.2024.04.15.2.09
  • 849

AI가 발전하면서 ‘AI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과 역량 강화가 사회적으로 요구되고있지만, 국내 인공지능 사용자의 AI 리터러시를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척도는 미비한 상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환경에 보다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리터러시측정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국내외 AI 리터러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해 AI 리터러시의 차원을 구분하고 문항을 개발했다. 이후,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서베이를 실시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고, 확인적 요인 분석을통해 타당도를 검증했다. 신뢰도, 타당도 분석을 바탕으로 처음 선행연구에 기초해 설정했던 AI 리터러시 요인과 요인별 세부 문항에 일부 수정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AI 리터러시의 하위 구성요소가 5개의 요인(AI 식별, AI 이해, AI 사용, AI 응용, AI 창조)으로 확인되었으며, 각 요인별로 적합한 세부 문항으로 18개 문항을 도출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척도가 앞으로 더욱 보편화될 인공지능 사용에 대해리터러시 수준을 진단하는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되는 한편, 법제도적 정책적 기반자료로써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Social demands for the education and competency empowerment of ‘AI literacy’ are required as AI has been developing.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to evaluate the AI literacy of Domestic AI users.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ity and reliability Scale of AI Literacy for domestic environments.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principles related to AI literacy and developed the AI literacy dimensions and questionnaires. Second, this study con ducted a survey on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and verified reliability through EFA(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validity through 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astly, the study refined the AI literacy factors and measurement model. As a result, there have been founded five sub elements of AI literacy: AI iden tification, AI understanding, AI usage, AI application and AI creation, and 18 spe cific questions. Furthermore, this research can be expected to serve as an objective assessment for Al literacy usage and foundational resource for legal and policy considerations.

1. 서론

2. AI 리터러시 개념과 하위차원에 대한 연구동향

3. AI 리터러시 척도에 대한 연구

4. 연구방법

5. AI 리터러시 척도 개발

6. 함의와 의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