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과학영재교육 제16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과학 영재 특성 구인과 과제 수행 단계의 연관성

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their Task Performance Stages

본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 특성을 단일 특성이 아니라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각 단계별로 구분하여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적으로 많이 강조되는 영재의 정의적 특성인 동기, 열정, 과제집착력 등의 범주를 과제 수행의 시작, 진행, 마무리 등 각 단계에서 고유하게 강조되는 특성들로 가정하여 과제 수행 단계와 대응시킨 후, 범주 내, 범주 간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결과, 과학 영재의 정의적 특성은 범주 내 연관성이 있었으나, 범주 간 문항의 상관성은 동기 범주와 열정 범주 사이에 상관성은 상대적으로 높고, 동기와 과제집착력 범주와의 상관성은 낮게 나타나서, 과제집착력 범주의 각 특성들이 다른 범주에 비하여 더 고유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중학교 모든 학년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3학년에서 더 뚜렷한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에서 조사된 단계별 특성의 상관성은 중학교에서 학년과 무관하게 학생이 학습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의미있게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In this study, it was assumed that it was necessary to separately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at each stage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a task, rather than a single characteristic. For this purpose,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which are traditionally emphasized, such as motivation, passion, and task concentration, were assumed to be characteristics that are uniquely emphasized at each stage of task performance, such as beginning, progress, and completion. Afterwards, each category was matched to the task performance stage, and then the relationships within and between categories were investigated.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had correlations within categories. However, the correlation of questions between categories was relatively high between the motivation category and the passion category, b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ation and task concentration categories was low. This means that each characteristic in the task concentration category is more unique than those in other categories. This pattern appeared similarly in all grades of middle school, with relatively more distinct results in the third grad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investigated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it continues meaningfully while students perform learning tasks regardless of grade in middle school.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