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지방자치연구 제25권 제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로컬 소상공인의 디지털 역량과 온라인 시장 대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gital competency of local business owners and the response of online market

DOI : 10.38134/klgr.2023.25.4.001
  • 59

최근에 다양한 첨단정보기술의 확산은 기존산업과 연계되어서 새로운 산업구조를 만드는 디지털 시대라 할 수 있다. 다양한 스마트기기가 보급 및 확산되고 디지털 환경이 형성되는 다변적 사회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중요하게 간주되고 있다. 따라서 소상공인이 반드시 갖추어야할 중요한 역량으로 간주되고 있는 것이 디지털 역량(digital competency)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구지역의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기기 역량과 디지털 콘텐츠 역량이 온라인 시장 대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디지털 콘텐츠 활용 역량의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또한 소상공인의 인구통계학적 기준에 의하여 추가분석을 실시하여 디지털 기기 역량과 디지털 콘텐츠 역량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와 디지털 콘텐츠 역량의 조절효과도 어떻게 다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높은 디지털 콘텐츠 역량은 디지털 기기 역량이 온라인 시장 대응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상공인들의 인구통계학적 기준으로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추가분석을 실시하여, 여성의 경우와 나이가 작은 집단 및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디지털 콘텐츠 역량은 디지털 기기 역량과 온라인 시장 대응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ecent business environment can be said to be a digital era in which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combines with existing industries to form a new industrial structure. In a multilateral society where various smart devices are distributed and a digital environment is created, the ability to respond flexibly is considered importa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digital competency” is presented as a competency that small business owners must hav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digital device capabilities and digital content capabilities affect online market response for small business owners in Daegu, and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digital content utilization capabilities in this relationship. Furthe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demographic standards of small business owners to determine how digital device capabilities and digital content capabilities appear and how digital content capabilities differ.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In a study of the entire group, high digital content capabilities were found to further strengthen the impact of digital device capabilities on responding to the online market. In addition, addi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small business owners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demographic criteria. In the case of women, digital content competency was found to positively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device competency and online market response in small and high-educated group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Ⅳ. 연구방법

Ⅴ. 실증분석 결과

Ⅵ.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