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문화역사지리 제36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단보] 조선왕조의 『서북계도(西北界圖)』 - 청나라 지도·지리지와의 관계

Research on “Northwest Boundary Map” of Joseon Dynasty - Also Discuss its Relationship with the Overview of the Imperial Domains and the Annals of Qing Dynasty

DOI : 10.29349/JCHG.2024.36.1.152
  • 27

『서북계도』는 1750~1776년에 편찬된 조선 사찬지도이며, 중국지도가 포함되었을 뿐만 아니라, 조선지도도 포함되었으며, ‘피아류’ 관방지도에 속한다(피란 청조를 가리키고, 아란 조선을 가리킴). 이 지도의 모본을 살펴보면, 중국도의 경우 주로 강희 『황여전람도(皇輿全覽圖)』의 小葉本인 『강희분부도(康熙分府圖)』를 참고하였으며, 흑룡강 부분은 『성경통지』(건륭 1년)의 「흑룡강도」를 참고하였다. 『서북계도』에는 점선으로서 압록강·두만강 경계를 표함과 동시에 그림으로서 백두산정계비 위치를 표하였다. 그러나 중국측 『강희분부도』(「압록강도」·「성경전도」)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정계비의 위치를 소백산 근처에 잘못 표기함으로써, 실제위치(백두산 천지 동남 기슭)와 거리가 생기게 되었다.

“Seobug gyedo(西北界圖)” is a private map of Korea compiled from 1750 to 1776, which includes both the Map of China and the Map of Korea and belongs to the type of defense map of each other (each refers to Qing Dynasty, other refers to Korea). From the source of the map, we can see the Map of China is based on the “Kangxi FenfuTu(康熙分府圖)”, the brochure version of “HuangYu QuanLanTu(皇輿全覽圖)” of Kangxi Period. But since the “Kangxi FenfuTu” does not contain the map of Heilongjiang, it refers to the “Map of Heilongjiang” in the “Shengjing Tongzhi(盛京通志)” (The first year of Qianlong)”. On the map, it not only marks the boundary of Yalu River and Tumen River by dotted line, but also marks the Baegdusan Jeonggyebi with symbol. Howeve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angxi FenfuTu” (“Yalu River Map” “Map of Shengjing Province”), the monument site is mistakenly marked in the vicinity of Sobeaksan, which bring about a distance from the actual monument site(the southeast foot of Baegdusan).

1. 머리말

2. 『서북계도』의 중국도의 모본

3. 제기(題記)의 내용

4. 지도의 제작연대

5. 『서북계도』의 정계비 위치와 국경인식

6. 맺는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