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在唐 渤海人의 삶과 시대 인식

A Study on the Life and the Recognition of the Times Balhae Peoples Lived in Tang(唐) Dynasty

DOI : 10.35160/sjekh.2020.08.35.155
  • 4

낙사계가 당에 머물게 된 것은 발해 제2대 무왕의 동생이었던 대문예와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대문예는 당에 밀착하던 흑수말갈에 대한 대응방식을 두고 군사적 정벌을 추진하던 무왕과 견해 차이를 보였다. 결국 그는 대립이 심해져 위협을 느끼게 되자 당으로 망명하였는데, 이 때 낙사계가 대문예와 정치적 행보를 함께한 것으로 생각된다. 낙사계는 재당 발해인으로서 활발히 활동하였다. 다양한 관직을 받았으며, 거란과의 전투에도 직접 참여하여 군공을 세움으로서 전형적인 발해 무인의 용맹함을 과시하기도 했다. 당 황제로부터 盧庭賓이라는 이름을 하사받을 정도로 당의 관료사회에 안착했다. 하지만 낙사계가 당에서 고위 관료로서 안정된 삶을 살았던 외형적 현실과 달리 내면적으로는 자신의 본국 발해를 향한 마음이 자리했던 것으로 보인다. 민족적 소수자나 사회적 소수자로서의 한계를 극복한다는 것이 결코 쉽지는 않았을 것이다. 아마도 현실에서 느껴지는 한계는 사상이나 종교를 통해 극복하고자 했을 것 같다. 당시 불교가 번성하던 시기였으므로 그 역시 불교 사원 등과 관련이 있을 법한데 직접적인 기록이 없어 아쉬움이 남는다. 다만 묘지명에서 확인되는 ‘기도’나 ‘적선’과 같은 표현은 가능성을 충분히 높여준다. 그리고 당에서 활동했던 발해인, 신라인, 일본인의 모습을 통해서도 추측해 볼 수 있는데, 국가나 신분을 초월하여 관계를 형성하고 교류했던 모습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비록 자기중심적인 사고를 완전히 탈피하지는 못했을 지라도 다양한 관계 속에서 자신을 객관화하고 상대를 인정하던 개방적 인식이 나타난다.

It is assumed that the Naksagye(諾思計) stayed in the Party because it was related to Daemoonye(대문예, 大門藝), who was the brother of the second King Mu(武王) of Balhae. In response to the “Heuksumalgal(黑水靺鞨)”, which had been closely attached to the party, he showed a difference of opinion with King Mu(武王), who was pushing for military rule. Eventually, he fled to the party when the confrontation intensified and he felt threatened,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a part of the political movement with the royal family. Naksagye(諾思計) was active as a person who lived in Tang(唐) dynasty. He received various government posts and participated in the battle against with the Khitan(契丹) to show off his typical bravery of Balhae fighters. He settled down in the party's bureaucratic society to the point where he was granted the name of RohJungbin(盧庭賓) by the emperor of Tang(唐) dynasty. However, unlike the external reality that the political elite lived a stable life as a high-ranking official in the party, internally, it seems that the party had a strong desire to break away from its homecoming home. It would never have been easy to overcome limitations as a national minority or a social minority. Perhaps the limitations felt in reality were to be overcome through thought or religion. It was a time when Buddhism flourished at that time, so he might also have something to do with Buddhist temples, but it is regrettable that there is no direct record. However, expressions such as “prayer(祈禱)” and “supererogation(積善)” that are identified in the cemetery name fully enhance the possibility. It can also be inferred from the images of Balhae people, Silla and Japanese who were active in the party, as they were revealed to have formed and exchanged relations beyond their national or social status. Although they may not have completely escaped self-centered thinking, there is an open perception that they have objectified themselves and recognized each other in various relationships.

Ⅰ. 머리말

Ⅱ. 재당 발해인의 출신과 이주

Ⅲ. 재당 발해인의 출사와 활동

Ⅳ. 재당 발해인의 교류와 현실 인식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