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葛項寺 石塔記」를 통해 본 元聖王의 세력기반

Rebuilding of Galhang Temple and King Wonseong

DOI : 10.35160/sjekh.2020.08.35.415
  • 11

갈항사에 대해서는 그 사상적 배경, 석탑 및 석불의 양식과 편년, 창건자인 승전과 관련하여 연구가 이루어져 기본적인 이해를 도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갈항사의 중창주인 원성왕 외가와 갈항사의 관계를 설명하려는 시도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원성왕 외가는 두 번에 걸쳐 갈항사에서 불사활동을 일으켰다. 특히 원성왕 즉위 이후에 석탑기를 새긴 것은 원성왕 외가로부터 이루어진 불사활동이 원성왕의 집권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이에 기왕에 이루어졌던 「갈항사 석탑기」의 해석을 검토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크게 두 가지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글을 작성하였다. 먼저 김천 지역에 위치한 갈항사가 원성왕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었는지의 문제이다. 김경신의 경우 계속해서 중앙 정계에서 활동했기 때문에, 김천 지역은 원성왕 외가의 경제적 기반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소문왕후의 외숙인 김원량이 숭복사에 기진한 토지를 주목하였다. 원성왕 외가는 소유지와 가까운 곳에 갈항사를 세워 재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갈항사를 중창하고 토지를 희사하여 면세 혜택을 통해 재산을 확대해 나가고, 이를 통해 김원량-김신술로 이어지는 외가 세력을 견고히 했다고 생각한다. 두 번째로 원성왕 즉위 이후 「갈항사 석탑기」를 새긴 까닭에 주목하였다. 이에 대해 선행 연구에서는 원성왕 외가의 세력이 미약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지만, 그렇다면 과연 창건에 가까운 중창에 시주할 수 있었는지 의문이다. 더욱이 김경신이 상위에 있는 김주원을 제치고 왕위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그에 대항할 만한 막강한 실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원성왕의 정치 세력 형성에 갈항사가 과연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지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 여지가 있다고 생각했다. 김경신은 그 외가가 갈항사의 전장을 운영한 경험을 통해 사원전과 관련한 일을 주도하였다. 이를 통해 중앙 정계에서 입지를 넓히는 한편, 김유신의 후손들과도 긴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다. 김경신은 또한 갈항사를 통해 성전사원을 지원함으로써 김양상, 충렴과 같은 중앙 정계 인사들과도 연합할 수 있었다. 원성왕이 즉위 이후에 불교계 통제를 위한 정책을 실시한 것은 이것이 원성왕 자신의 즉위에 큰 도움이 되었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결국 원성왕의 즉위 이후 갈항사 석탑기를 새기고 장식을 더한 것은 갈항사가 원성왕의 즉위에 큰 역할을 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졌다고 보인다. 그러한 갈항사를 중창한 단월이 원성왕 외가의 세 남매였음을 대외적으로 공표함으로써 자신들의 지위를 확고히 하고자 했다고 생각한다.

This thesis is mainl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Galhang Temple and King Wonseong’s maternal relatives, the rebuilder of Galhang Temple. As for Galhang Temple, existing researches covered its ideological background, the style and arrangement of stone pagodas and stone Buddha, and the founder, Seungjeon. However, f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Galhang Temple and King Wonseong's maternal relatives. They took the lead two Buddhist activities at Galhang Temple. Notably, the engraving of the inscription on Galhang Temple Stone Pagoda after the accession of King Wonseong suggests that the Buddhist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King Wonseong’s maternal relatives must have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Wonseong's accession.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inscription on Galhang Temple Stone Pagoda, this thesis raises two main questions. First of all, it is a question of how Galhang Temple was connected to King Wonseong even though it was located in the Gimcheon area. As Kim Kyung-shin continued to work in the central government, the Gimcheon area was rather related to the economic foundation of the maternal family of King Wonseong. In this regard, it is noticeable that Kim Won-ryang, Queen Somun’s uncle had a lot of land in the province. And it seems that Wonseong's maternal family wanted to run their finances more efficiently by setting up a temple near their property. They received massive tax benefits in exchange for lands and donation to Galhang Temple. This enabled Kim Won-ryang and Kim Shin-sul to solidify their faction. Secondly, this study focuses on the reason why the inscription on Galhang Temple Stone Pagoda was carved after the throne of King Wonseong. A preceding research explains that the power of King Wonseong's family was weak. If so, it is questionable how they could organize the large scale rebuilding of Galhang Temple. Furthermore, it is understandable that Kim Kyung-shin was able to rise above Kim Joo-won, who was at the top of the rank, because Kyung-shin had a powerful ability to stand up to Joo-won. Therefore, this thesis claims that there was room for a more detailed look at the significance of the Galhang Temple in forming the political power of King Wonseong. Kim Kyung-shin led the tasks of managing temple farms through his experience in running the land of Galhang Temple. This allowed him to expand his presence in the political mainstream, while also forming close ties with Kim Yu-shin's descendants. Kim Kyung-shin was also able to unite with powerful political figures such as Kim Yang-sang and Chung-ryum by supporting the Seongjeon temples through Galhang Temple. King Wonseong's policy of controlling the Buddhist community proves that the Buddihist community had a crucial role in his accession. In the end, the inscription on Galhang Temple Stone Pagoda was carved and decorated after the accession of King Wonseong. It had a purpose to emphasize that Galhang Temple played a great role in the ascension of Wonseong. In other words, the three siblings of King Wonseong's mother wanted to solidify their positions by publicly announcing that they were donators of Galhang Temple.

Ⅰ. 머리말

Ⅱ. 「葛項寺 石塔記」 명문 분석

Ⅲ. 元聖王 외가의 葛項寺 중창

Ⅳ. 元聖王의 즉위와 「葛項寺 石塔記」의 조성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