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四王의 亂’ 이후 平盧節度使 李納의 兩面性

Two Sides of the Pinglu Military Commissioner Li Na After the Jianzhong Incident

DOI : 10.35160/sjekh.2020.08.35.489
  • 11

唐 德宗의 번진정책에 반발하여 일어난 四王二帝의 난은 貞元 2년(786) 4월 종결되었다. 이후 덕종은 정원 21년(805) 정월까지 약 19년 동안 더 재위하였지만, 이 기간에 그는 번진들에 대해 더 이상 강경책을 펼치지 못한 반면 번진들은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이러한 연유로 2제의 난 이후 덕종의 번진정책은 전통적으로 ‘姑息’이라는 말로 표현되었다. 즉 목전의 평안을 위해 “잠시 내버려두는” 정책이라는 의미이다. 반면 근래에 들어 ‘할거 번진’ 이외의 다른 번진들에 대해서는 덕종이 여러 가지 억제 정책을 추진하여 나름의 성과를 거두었다는 견해도 제시되어 있다. 이납은 하북3진과 함께 4왕의 난을 일으켜 당조를 굴복시킨 후 당조와의 공존을 지향한 듯이 보인다. 하지만 실제의 행동을 보면 간단히 단정하기 어려운 점들이 있다. 이납은 덕종이 회유하기 위해 내린 은택을 모두 누리면서도 한편으로는 여전히 반역적 태도를 거두지 않았다. 이 글은 4왕의 난 이후 이납이 취한 태도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 시기 번진체제를 형성한 구조적 성격을 파악해 보려는 것이다. 이납의 행동은 당시 번진체제에 내재된 다중적 모순관계를 반영한 것으로 이해된다.

This essay discusses Li na’s strategies for his life in Tang dynasty after he overpowered Tang Dezong by the Jianzhong Incident, which he raised with three military governors in Hebei. Considering Lina’s behaviors, however, there are obscure aspects in understanding his attitude. Li na did not give up his treacherous attitude toward the Tang dynasty while reaping all benefits granted from Dezong. By examining Li na’s reactions after the Jianzhong Incident, the essay attempts to grasp the main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vincial system at that time. In particular, the essay interprets Li na’s behaviors as reflections of multifaceted contradictions within the Tang provincial system.

Ⅰ. 머리말

Ⅱ. 李希烈의 稱帝와 이납의 동태

Ⅲ. 德宗과 이납의 관계

Ⅳ. 주변 藩鎭과 이납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