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홍천군 신봉리사지는 일찍부터 수타사의 전신 사찰인 일월사로 비정되어 왔으나 자료의 부재, 연구의 미비로 그동안 구체적으로 고찰된 적이 없다. 본 논문은 신봉리사지 석탑과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신봉리사지의 사격을 검토해보고 석탑재의 양식 특징을 살펴 복원안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신봉리사지에서 출토된 철제모조마를 검토한 결과 제의용으로 제작된 것으로 통일신라~고려시대 강원지역 내 사찰에서 출토된 철제모조마와 유사성이 확인되었다. 석탑재에 대한 현장조사 결과 갑석 부재를 새롭게 확인하였으며 기단면석 하부 그랭이질 흔적을 확인하였으며 석탑재 양식 특징과 새롭게 확인된 특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새롭게 복원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신봉리사지 석탑은 기단면석 하부를 그랭이질하여 자연석을 지대석으로 삼고 단층기단을 올린 삼층석탑으로 복원하였으며, 양식 특징으로 보아 고려전기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강을 끼고 있는 사지의 입지로 보아 고려시대 유행한 비보탑일 가능성이 높으며 복원되었을 경우 강원도에서 보기 드문 규모를 가진 석탑으로서 문화재적 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신봉리사지 석탑의 양식 특징이 충북지역의 고려시대 석탑과 친연성을 보인다는 점은 향후 강원지역 고려시대 석조미술 전파 경로를 살필 수 있는 중요 자료로서 학술적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신봉리사지가 수타사의 전신인 일월사로 비정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체계적인 학술조사가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The Sinbong-ri Temple site in Hongcheon County has never been considered in detail due to the lack of data and lack of research.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nbong-ri Temple site, focusing on the stone stupa and excavated remains of the Sinbong-ri Temple, and suggested a restoration plan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of the stone stupa. The iron miniature horse excavated from Sinbong-ri temple site was produced for ritual purposes,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similar to the iron miniature horse excavated from temples in Gangwon area of the Unified Silla~ Goryeo period. The stone stupa is considered to be a three-story stone stupa of Single-Stylobate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Also, if restored, it is expected to have high cultural properties as a stone stupa of early Goryeo Period in Gangwon region.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of the stone stupa of Sinbong-ri temple site are close to those of the Goryeo Dynasty in the Chungbuk region, it is believed that the academic value will be high as an important data to examine the path of stone art in the Goryeo Dynasty in the Gangwon region.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systematic academic research on Sinbong-ri temple site is necessary.
Ⅰ. 머리말
Ⅱ. 신봉리사지 현황과 출토유물 검토
Ⅲ. 신봉리사지 석탑 양식 특징
Ⅳ. 신봉리사지 석탑 복원안과 문화재적 가치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