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9세기 후반 일본의 弩師 배치 배경

Background of Nosa Arrangement of Japan in the Late 9th Century

DOI : 10.35160/sjekh.2020.04.34.213
  • 9

조간 연간(貞観年間, 859~877년) 신라 문제의 본질을 弩師 배치의 현황과 그 사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먼저, 노사 배치가 종래의 연구에서는 군제 개편의 일환으로 다루어져왔던 점에 유의하면서 그와 같은 평가는 변경 지역에서의 외침을 상정한 것이며, 특히 신라에 의한 군사적 도발 내지는 침략에 대한 해방 정책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시각에 바탕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조간 연간의 노사 임명 기사를 검토해보는 한 山陰道를 중심으로 하는 연해 지역에서 실제로 문제시되고 있었던 것은 신라・신라인에 의한 군사적 움직임이라기보다도, 당해 지역의 인민이 신라인, 그 가운데서도 상인적 성격을 지니는 신라인들과 결탁해가는 사태 그 자체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대외적 위협의 실태가 어떠했든지 일본 측이 신라에 대해 매우 강한 경계의식(배외의식)을 가지고 있었던 점은 분명하며, 노사 인사에서 反신라적인 감정을 지니고 있었을 개연성이 있는 씨족이 임명된 사실도 그와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한편, 四天王法이 산인도를 중심으로 한 연해 지역에서 행해진 것도 당해 지역에서의 신라 문제가 災異의 일종으로 인식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설령 그것이 관념적・주술적인 내용과 연동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외부 위협에 대한 방비책으로서는 나름대로 충분히 기능을 발휘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찰된다. 결국, 조간 연간의 일본이 노사 배치를 통해 꾀하였던 것은 오히려 국가 내부적인 사정과 연결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新羅商船’ 등으로 표현되는 내항 신라인(來航新羅人)에 호응하는 세력이 변경 지역에 등장하기 시작한 사실을 비롯하여, 그러한 시대의 흐름에 편승하여 국가 권력으로부터 이탈・이반해가는 인민이 늘어나는 현상, 바로 그 자체가 연해 지역에 대한 노사 배치 단행으로 나타난 것이다.

The intrinsic nature that is presented in the issues involving Silla is analyzed through the status and circumstance of the arrangement for Nosa(弩師, Crossbowman) in the Jogan period(貞観年間, 859~877). First of all, it is noted that the Nosa arrangement had been treated as part of revising military deployment in the previous studies and this type of assessment was presented on intrusions from outside for the border regions, and in particular, it was pointed out that such a view was based on searching out a policy to deviate from the military provocation or intrusion of Silla Dynasty. However, the actual problems existed in the coastal areas around Sanin-do(山陰道) as reviewed in articles on Nosa arrangement in the Jogan period was confirmed to be the situation where the people in the applicable area had the collusion with people of Silla, particularly the Silla merchants, rather than the military movement by Silla and its people. However, regardless of the reality of external threat, the Japanese part clearly had the strong sense of awareness (sense of exclusion) against Silla, and it could be found to be relevant from the fact that the clan with anti-Silla sentiment was appointed in the Nosa arrangement. In the meantime, Sacheonwangbeop(四天王法) was exercised in the Sanin-do-oriented coastal region which is an indication that the issues around Silla was recognized as a type of natural calamity in the applicable regions, and even if it is interlocked with the conceptual and black magical contents, it is contemplated as asserting certain function as the preventive measure on external theat. Consequently, what Japan attempted through the Nosa arrangement in the late 9th century was rather viewed as connecting to the internal national circumstances. The forces that respond to people of Silla in the ports as expressed in ‘Silla Merchant Ship’ and so forth began to emerge in the border areas, and taking on the bandwagon of such time flow, it appeared the phenomenon to have growing people to deviate and beak away from the national power, which was appeared in the Nosa arrangement in the coastal regions.

Ⅰ. 머리말

Ⅱ. 緣海諸國으로의 노사 배치와 부임자

Ⅲ. 四天王法과 신라 문제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