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尙州 洛上洞寺址 石塔의 樣式과 復元 檢討

Style and restoration Study of Stone Pagoda of Naksangdong temple site in Sangju

DOI : 10.35160/sjekh.2016.12.24.253
  • 4

신라시대 건립된 ‘전축모방형 석탑’은 현재까지 9기가 확인되는데 모두 경북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이 가운데 경북 상주시 洛上洞寺址에서 확인된 洛上洞 石塔은 계단형 옥개석 부재 등으로 전축모방형 석탑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발견 당시부터 폐탑으로 쓰러져 있어서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다. 발굴조사 결과 확인된 탑지 적심석 규모 및 수습된 23매의 석탑 부재의 양식 특징을 검토한 결과 경북지역에 건립된 전축모방형 석탑의 하나로, 17세기 초 이후 어느 시점에 폐탑되어 인근 도남서원 건립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탑지의 규모, 석탑 부재의 현황 및 양식 특징, 후대의 기록 등을 종합해 볼 때, 낙상동사지 석탑은 미완성 석탑이 아니라 가구식기단의 5층 탑신을 갖춘 전축모방형 석탑이었을 것으로 복원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의성, 선산 등 경북지역에 집중 건립된 전축모방형 석탑의 한 사례로서 재검토되어야 하며,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선산 죽장사지 오층석탑-상주 낙상동사지 석탑-선산 낙산리 삼층석탑-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 등으로 전개되는 전축모방형 석탑으로 이러한 양식의 석탑 계보와 전개과정을 보여주고 있어 미술사적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상주지역은 낙동강 수계를 따라 내륙 깊숙이까지 교통로의 요충지로서 일찍부터 발달하였고, 신라의 주요 간선로로 중요한 문화전파 통로로 개척되었으며 이를 통해 불교미술도 일찍부터 발달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지역 불교미술 중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의 부재의 자유로운 분할 방식은 이 지역 석탑에서 보이는 지역적인 특징으로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re are total nine “imitation brick structure-type stone pagodas” from Silla, and all of them are distributed in the Gyeongbuk region. Of them, Naksangdong Stone Pagoda at the temple site of Naksangdong in Sangju, Gyeongbuk Province was confirmed to be an imitation brick structure-type stone pagoda based on absence of stepped roof stone. It has, however, not been well-known since it was discovered as a destroyed and fallen pagoda. This study proposed a restoration plan for Stone Pagoda at Naksangdong temple site based on an assumption that it must have been an imitation brick structure-type stone pagoda with a stylobate in post-lintel construction and five-story body instead of an incomplete stone pagoda according to the size of pagoda site, the current state and style features of stone pagoda materials, and later records. The study also maintained that the Stone Pagoda should be re-reviewed as a case of imitation brick structure-type stone pagodas whose construction was concentrated on the Gyeongbuk region including Uiseong and Seonsan. The Stone Pagoda holds enough value in the art history, demonstrating the genealogy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stone pagoda style, which runs through the 5-Story Stone Pagoda in Tapriri of Uiseong, 5-Story Stone Pagoda at the Jukjangsa temple site in Seonsan, Stone Pagoda at the Naksangdong temple site in Sangju, 3-Story Stone Pagoda in Naksanri of Seonsan, and 5-Story Stone Pagoda at the Bingsansa temple site in Uiseong. The Sangju region emerged early as a strategic point of transportation deep into the interior along the water system of Nakdong River and was early pioneered as a critical path of cultural spread and one of main lines in Silla, thus being able to Buddhist art at an early stage. The free division method of materials found in the 3-Story Stone Pagoda in Hwadali of Sangju shows one of the local features of stone pagodas in the area as part of local Buddhist art.

Ⅰ. 머리말

Ⅱ. 낙상동사지 현황

Ⅲ. 낙상동사지 석탑 양식 특징

Ⅳ. 복원안 검토 및 미술사적 의의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