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고대사탐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라 興德王 敎書에 보이는 공예 장식과 국제교역

Decorations on Craft Works and International Trade Revealed in King Heungdeok’s Decree of Silla

DOI : 10.35160/sjekh.2017.04.25.310
  • 54

신라 興德王(재위 826-836) 9년(834)에 반포된 敎書는 신분과 지위에 따른 禁制 규정으로 당시 사회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기록이다. 『三國史記』에는 골품에 따라 色服, 車騎, 器用, 屋舍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품목이 기술되어, 신라시대 선호된 공예 재료와 장식기법에 대한 단서를 엿볼 수 있다. 공예품의 재료를 살펴보면, 왕실의 상징물인 玉과 瑟瑟을 비롯해 玳瑁, 烏犀, 象牙, 孔雀尾, 翡翠毛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사치품의 범람과 외래품의 선호를 규제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었기 때문에 異國産 물품이 상당수를 차지한다. 白玉은 양질의 옥 산지로 유명했던 호탄의 산물로 추정되며, 터키석인 瑟瑟은 이란과 티베트에서 원석이 생산된 것을 알 수 있다. 대모, 서각, 상아 등 유기물 보석은 대체로 동남아시아에서 들여온 품목으로 확인되어, 활발했던 국제교역의 상황을 증명해 준다. 기록에 나타나는 瑟瑟鈿, 寶鈿, 刻鏤, 綴珠, 綴玉, 平文 등은 장식 기법의 특징을 가늠하게 한다. ‘鈿’은 기물의 표면에 보석을 감입하는 장식이며, 平文과 平脫, 螺鈿 기법의 유행과도 연결된다. 한편 ‘鏤’는 기존에 알려진 撥鏤와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상아의 표면에 새김장식을 하는 ‘牙鏤’를 撥鏤의 원류로 해석하였으며, 正倉院에 전하는 상아제 유물을 韓日 교류의 결과물로 추정하였다. 綴玉과 綴珠는 옥이나 진주와 같은 보석을 꿰거나 엮어 화려함을 배가하는 공예 기법으로 파악하였다. 금제규정은 신분에 맞지 않는 사치품의 사용이나 호화로운 물품의 유행을 반증해 준다. 강력한 규제가 필요할 만큼 상류 문화에 대한 열망과 소비가 확대된 것이다. 신분제로 유지되는 사회에서 규범을 벗어난 풍속이 긍정적인 현상은 아니겠지만 신라 문화의 수준과 다양성에 변화를 가져왔다. 각종 외래품은 신라의 적극적 대외교류를 확인해 주며, 고가의 재료를 더욱 빛나게 했던 우수한 장식 기술은 공예 분야의 융성과 번영에 밑거름이 되었다.

The decree promulgated by King Heungdeok (興德王, r. 826-836) of Silla in 834, as recorded in Samguk sagi (三國史記), documents prohibition regulations on social class and strata, providing valuable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Silla society. Samguk sagi, in which recounts items that could be used to decorate garments, carts, objects, and houses according to golpum (骨品, bone-rank), shows favored materials and techniques for making and embellishing craft works during the Silla Kingdom. Such record indicates various craft materials, ranging from jade (玉) and seulseul (瑟瑟), both of which were symbols of the royal family, to others, such as striped-tortoise shells (玳瑁), rhinoceros horn (烏犀), ivory (象牙), green peafowl tails (孔雀尾), and kingfisher feathers (翡翠毛). Most of these materials were imported goods as they were mentioned in the context of restricting the flood of luxuries and a preference for exotic goods as well. White jade was presumed to be the product of Khotan, a famous site for high-quality jade, while seulseul, also known as turquoise, was obtained from Iran and Tibet. Organic precious materials, including striped-tortoise shells, rhinoceros horn, and ivory, turned out to be mostly imported from Southeast Asia, evidencing Silla’s active international trade. The decree also include technical terms - for example, turquoise inlay (瑟瑟鈿), gemstone inlay (寶鈿), engraving (刻鏤), plaiting beads (綴珠), plaiting jades (綴玉), and embedding shapes cut from gold, silver, or tin sheets (平文), which suggest characteristics of decorating methods. The first two related to inlay (鈿) refer to a decoration technique of inlaying gems on the surfaces of objects, and are related to the wide use of pyeongmun (平文), pyeongtal (平脫), and najeon (螺鈿) practices. In the case of engraving (鏤), I examined the term by comparing it with ballu (撥鏤), which is better known as bachiru. Bachiru appears to have originated from another term, aru (牙鏤), a carving technique applied on the surface of ivory, and the ivory artifact housed in Shōsōin (正倉院) can be inferred to be derived from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Plaiting beads and plaiting jades, or cheolju (綴珠) and cheorok (綴玉) in Korean respectively, can be understood as techniques to add splendor by stringing or plaiting gems, such as pearl or jade. The prohibition laws reflect the frequent use of luxury items that did not match the social status and the popularity of extravagant goods. In other words, the desire to absorb upper class culture was so deep that strong control regulations were necessary. Although customs not abiding by social norms in the Silla society with its rigid hierarchy did not imply a positive phenomenon, they led to several changes in the cultural level and cultural diversity of Silla. All sorts of foreign products had proved Silla’s active foreign trades with other countries. Moreover, outstanding decoration techniques that made such extravagant materials shine even more had validated the advanced craft culture of Silla.

Ⅰ. 興德王 敎書의 내용과 의미

Ⅱ. 신분에 따른 공예 장식의 구분

Ⅲ. 외래품 선호와 장식기법의 발전

Ⅳ. 교서를 통해 본 신라 공예 문화의 다양성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