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6세기 초중엽의 신라에서 及伐尺이 설치되고 非干外位가 재편되는 과정을 재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5세기 말경 신라는 지역세력에게 干支와 일금지를 외위로 수여해 일정한 자치권을 부여하고 지방통치에 협조토록 했다. 하지만 지역세력 내에서는 자치적 위호가 혼용되었다. 도사의 파견이 확대되면서 지역세력의 위호를 외위로 일원화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520년 율령반포를 전후하여 신라는 6부의 자치적 위호를 이용해 비간외위인 一伐(8), 一尺(9), 彼日(10) 등을 설치했다. 이와 함께 경주 인근의 자치적 위호에서 유래한 일금지를 유지함으로써 외위의 통일적 위계화 및 지역세력과의 일정한 타협을 꾀했다. 봉평비에서 Ⅷ-16~18의 居尺은 지방통치와 관련된 실무적 보조자에 대한 위호로 볼 수 있다. 그 위상은 일금지보다 낮았다. 비간외위의 재편은 간군외위의 변화와 연동되었다. 청제비(536) 직전 干支의 복구는 비간외위의 본격적인 재편을 동반하지 않았다. 551년 이후 578년 이전 下干支와 干支의 통합은 간군외위를 정리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급벌척은 간지의 상향분화가 시작된 단계 즉 청제비(536)부터 명활산성비(551) 사이에 외위로 편성되었을 것이다. 비슷한 시기에 일금지가 폐지되면서 비간외위는 6부 계통의 위호로 일원화되었고, 일금지는 아척, 급벌척 등으로 대치되었다. ‘급벌’은 간군외위를 보좌하는 하위의 ‘기초적’ 역할을 의미했다. 급벌척은 일상적인 업무에서는 간군외위의 지휘에 협조했지만, 조세 수취나 인력 동원에서는 책임자 역할도 맡았다. 급벌척을 비롯한 외위의 설치는 國法과 같은 상위법으로 규정되었다. 급벌척의 임무를 대신하는 기준은 代法과 같은 하위법으로 규정되었다. 급벌척은 비간외위의 최하급을 구성하다가 삼국통일의 완성을 전후하여 여타 외위와 함께 소멸되었다고 생각된다.
At the end of the 5th century, Silla conferred local forces on the Woewui(外位) called Kanji(干支) and Ilgeumji. Local forces, however, used autonomous titles simultaneously. Before and after the promulgating Yulrung(律令), Silla established Non Gan-series Woewui called Ilbeol(一伐)-Ilchuk(一尺)-Peail(彼日) which originated from 6-Bu(部). By maintaining Ilgeumji originated from the autonomous title near Gyeongju, Shilla simultaneously attempted to unify the hierarchy of Woewui and compromise with the local forces. In Bongpyeong-Epitaph, Geo□chuk(居尺), located in Ⅷ-16~18, was a practical assistant related to regional governance. The grade of Geo□chuk was lower than Ilgeumji. The repositioning of Kanji just before 536 was less related to the reorganization of Non Gan(干)-series Woewui. The integration of Ganji and Haganji(下干支) between 551 and 578 was the result of the consolidation of Gan-series Woewui. Geobbeolchuk would have been additionally installed between 536 and 551. At the same time, Ilgeumji(壹金知) was abolished, and Non Gan(干)-series Woewui were all organized into the titles originated from 6-Bu. Ilgeumji was replaced by Achuk(阿尺) and Geobbeolchuk. ‘Geobbeol’ meant a ‘basic’ role to assist Gan-series Woewui. In the day-to-day work, Geobbeolchuk cooperated with the commanders of Gan-series Woewui, but also took charge of tax collection and manpower mobilization. The installation of Woewui was defined as the superior law such as The state law. The principle of substitution of Geobbeolchuk was prescribed by sub-law such as The substitution law(代法). Geobbeolchuk was placed at the lowest position of Non Gan(干)-series Woewui, which was exterminated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Ⅰ. 머리말
Ⅱ. 율령반포와 非干外位의 구성방향
Ⅲ. 非干外位증설과 及伐尺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