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에서 백제는 온조왕 13년까지 熊川에 진출하고 동 24년에 熊川柵을 설치했다고 한다. 백제와 마한의 대립 상황, 지리적 조건을 고려하면 웅천은 통설 대로 안성천을 가리킨다. 백제가 이곳에 진출한 시기는 말갈과 낙랑의 위협을 극복하고 공세적으로 나가기 시작한 3세기 중후반일 것이다. 웅천책을 설치한 시기는 중국 군현 및 말갈과의 관계가 안정된 이후인 고이왕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고이왕대 초반에 백제는 말갈과 낙랑의 위협에 대처하고 웅천 이북의 세력권을 대외적으로 인정받기 위해 마한 목지국의 우위를 인정했다. 3세기 중엽에 세력이 약화된 목지국은 백제와의 우호관계를 통해 주변 소국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려 했다. 하지만 백제는 웅천책을 설치함으로써 웅천 이북에 대한 지배를 기정사실화하고 웅천 북안에서 전략적 거점을 확보하려 했다. 그 위치는 안성천과 진위천의 합류지 이동, 공도읍 진사리토성의 이서에서 안성천 북안이었을 것이다. 웅천책에 대해 평택 지제동산성이나 공도읍 진사리토성 일대의 세력은 묵인했지만, 안성 도기동토성 일대 세력은 목지국과의 우호관계를 고수했다. 이는 웅천책을 폐기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백제는 마한 목지국에 대해 실질적 우위를 확보하게 되었다. 3세기말 4세기초까지 백제는 목지국 일대를 정복했다. 이보다 먼저 도기동토성 일대의 세력이 복속함으로써 백제는 웅천 주변을 장악하게 되었다. 이 주변에서 기존 國邑이나 邑落의 치소는 상당 기간 동안 自治城으로 인정받고 백제의 지배에 협조했다. 전략적 요충지에는 據點城이 설치되어 대외 방어와 주변 자치성에 대한 통제를 맡았다. 자치성이었던 도기동토성은 4세경 거점성으로 변화했다. 이는 안성 지역이 금강 상류와 중류로 통하는 중간거점의 역할로 중시되었기 때문이다. 도기동 일대 세력이 이러한 역할에 협조하면서, 도기동토성은 전략적 거점으로서의 위상이 강화되었다. 이상의 사례는 4세기경 백제에서 거점성과 자치성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지배체제가 점차 형성되어 갔음을 보여줄 것이다.
According to 『Samguksagi(三國史記)』, Baekje(百濟) was expanded to the Woongcheon area in the 13th year of King Onjo, and installed the Woongcheon-Chaek(柵) in the 24th year of his reign. Woongcheon is Anseong River. Baekje was expended to this place at the beginning of the reign of King Goi, and set up Woongcheon-Chaek in the latter period of his reign. Baekje acknowledged the superiority of Mokji(目支) State in order to cope with the threats of Malgal(靺鞨) and Lolang(樂浪) and to be recognized for its influence on the northern Woongcheon in the early days of King Koi. The weakened Mokji State maintained friendly relationships with Baekje to maintain its influence on the surrounding small state in the middle of the third century. Baekje tried to establish the domination of the northern Woongchon by installing Woongchon-Chaek in the north of Anseong River. It would have been placed in the west of Jinsari Castle, and in the east of where Anseong River meets Jinwi River. The forces around them accepted the existence of Woongchon-Chaek, but the forces of Anseong adhered to friendly relationships with the Mokji State. Baekje abolished the Chaek, but secured a substantial advantage over Mokji State. Baekje conquered around Mokji State in the late 3rd and the early 4th century. During this period, Baekje also took control of Woongcheon area. In this area, the existing castles of the small states turned into an autonomous castle and cooperated with Baekje's domination. Baekje set up strategic castle to control external defense and surrounding autonomous castles. Dogidong Castle was changed from autonomous castle to strategic one in the 4th century. This is because Anseong was located between Hanseong(漢城) and the upper and middle streams of Geum River. Because the Anseong forces cooperated with policy of Paekche, Dogidong Castle was strengthened as a strategic base. The above shows that a ruling system was formed and it organically connects the strategic castle and autonomous castle around of Woongcheon in the 4th century.
Ⅰ. 머리말
Ⅱ. 온조왕대 熊川관련 기사의 반영 시기와 공간
Ⅲ. 백제 마한 간의 관계 변화와 熊川柵
Ⅳ. 백제의 목지국 정복과 熊川주변 세력 지배
Ⅴ. 맺음말